18.191.228.88
18.191.228.88
close menu
KCI 우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해석된 체험경제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the Experience Economy
장서희 ( Chang Seo-hee )
관광학연구 43권 8호 31-48(18pages)
DOI 10.17086/JTS.2019.43.8.31.48
UCI I410-ECN-0102-2021-300-00022970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감정적이고 비이성적인 의사결정자를 가정하는 체험효용이론에 기반한 체험경제에서는 소비자의 즐거운 감정에 비례하여 소비자 지불액과 산업체 매출이 증가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을 실증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유·무형 호스피탈러티와 관광 상품 효용의 재화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장서희는 일련의 연구들을 진행했다. 그 결과 체험경제 가정과는 달리 한국소비자들은 서비스경제 재화가치를 체험경제보다 더 높게 책정하였다. 다만 체험경제에서만 손실가치가 이득가치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문화에 따라 체험효용 인식 차이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더욱 극명하게 구분되는 거시 문화권은 보편적으로 동양문화와 서양문화로 구분되는데, 이는 휴리스틱에 기반한 왜곡 정도와 연계되어 체험효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즉 체험효용에서 휴리스틱과 손실회피와 같은 심리가 문화 차이에 따라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효용이론에 기반한 체험경제에 적용할 수 있는 문화비교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그 결과 집단주의-개인주의, 맥락적-비맥락적, 예방중심-촉진중심의 세 가지 프레임이 제시되었으며 문화 차이에 따라 호스피탈러티와 관광 체험경제 차이의 가능성을 구체적 사례와 함께 논의하였다. 제시된 주요 프레임은 향후 호스피탈러티와 관광 체험경제의 실증연구를 위한 틀로 기여될 것이라 본다.

Pine and Gilmore suggested that industry revenue proportionally increases according to consumers' pleasure associated with their experience, which is rooted in the theory of experienced utility, assuming an irrational and emotional decision-maker. To empirically study the aforementioned assumption, Chang, in a series of studies, measured the monetary valu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hospitality and tourism products perceived by consumers. However, the findings of her studies were different from what Pine and Gilmore assumed in the experience economy, revealing that the monetary value of the service economy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experience economy. Neverthel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loss value of the experience economy was greater than its gain value. In addition, there were some variations in the loss and gain values of the experience economy by regional cultures. Therefore, to explore the likelihood of cultural differences influencing the experience economy, this study established a framework (collectivism vs. individualism, context-related vs. context-free, and prevention-oriented vs. promotion-oriented) for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he experience economy. The experience economy was discussed in the hospitality and tourism context by using the framework. It is expected that this conceptual paper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future empirical stud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체험경제 적용을 위한 문화비교 프레임
Ⅳ. 호스피탈러티와 관광 체험경제 영역의 문화비교
V.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