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7.161
18.119.107.161
close menu
KCI 등재
북한 문학교육을 통한 문학교육론의 투시와 성찰 -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
Perspectives and Reflections o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Focused on North Korea's 2013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
최홍원 ( Choi Hong-won )
문학교육학 64권 343-384(42pages)
DOI 10.37192/KLER.64.10
UCI I410-ECN-0102-2021-800-000229483

이 연구는 그동안 북한 문학교육을 소개하고 실체를 분석하거나 평면적으로 비교하는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문학교육의 현상과 문제를 확장하여 살피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과 민족, 역사, 언어를 공유하는 상황적 조건 속에서 비판이나 극복을 넘어 문학교육의 제문제를 도출하고 점검하여 발전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비교교육학의 사회과학적 실행 단계를 준용하였고, 구체적인 비교 준거로 북한의 2013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북한 문학교육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학교육의 본질적인 문제를 이끌어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북한 교육과정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학의 영향력과 효용에 대한 특별한 인식을 살핌으로써, 문학의 효용과 의미를 고민하고 가치의 문제와 학습자의 경험을 중요한 과제로 제기하였다. 둘째 문학이 독립적으로 실현되지 않고 타영역과 통합적으로 설계되는 모습에서 우리의 영역 통합의 실태를 점검하고 국어교육 하위 영역 설정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주제와 가치 중심으로 편성되는 북한 국어교과서를 살핌으로써 목표 중심의 체제에서 벗어나 주제의 문제를 더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을 제기하였다. 넷째, 북한에서 노래의 가치와 효용에 주목하여 교과서에 널리 수록되는 양상을 살핌으로써, 문학교육에서 노래의 영향과 가치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북한의 ‘깨우쳐주는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활동의 강조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우리 문학교육의 문제를 드러내고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deviating from the research tendency to introduce and compare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haring the nation, history, and language with North Korea's literary education, it seeks to find a new direction of development by deriving and examining the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beyond criticism or overcoming. As a methodology for this, the social science practice of comparative pedagogy was applied, and North Korea's 2013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criteria. Through North Korea's literary education, the essential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were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explored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the special recognition of the influence and utility of literature that is prominent in the North Korean curriculum, it considers the utility and meaning of literature and raises the issue of value and the learner's experience as important tasks. Second, in the form of literature not being realized independently but designed integratively with other domains,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reality of our domain integration and reconsider the setting of the sub-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North Korean textbooks were organized around themes and values, a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dding the issues of themes away from the goal-oriented system. Fourth, by examining the fact that songs are widely included in textbooks in North Korea,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and value of songs in literary education. Lastly, North Korea's “kkaeuchyeojuneun gyosubeob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revealed the problem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raised the need for improvement despite emphasizing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learners.

1. 논의의 배경 및 필요성: 북한 문학교육을 살피는 까닭
2. 북한 문학교육 연구의 궤적과 비교의 방법론
3. 북한 교육과정과 문학교육의 설계
4. 북한 교과서와 문학교육의 실행
5. 결론을 대신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