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92.26
3.144.92.26
close menu
KCI 등재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른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regulatory means fit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김경은 ( Kim Kyung-eun ) , 김계현 ( Kim Kay-hyon )
상담학연구 20권 5호 107-131(25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22939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진로 목표 달성을 위해 행동을 조절하는 동기체계와 각 동기체계에 맞는 접근수단의 일치 여부가 진로 선택에 대한 정서 및 인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S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총 138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개의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과 2개의 조절전략(열망전략, 경계전략)의 2×2 집단 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상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의 경우,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 반응은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fit)가 상충(non-fit)에 비해 최종 진로 선택 직후의 긍정적 정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부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인지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한 확신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예방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긍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부정적 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인지적 반응은 일치가 상충에 비해 직업정보에 대한 기억량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만족스러운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al system that regulates goal attainment behavior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fitness of the strategy according to each motivational system to the value perception of career choice. For the purpose, face-to-fac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38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Seoul area in grade 3-4. Two regulatory focus (promotion, prevention) x two strategies (eagerness, vigilance)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group with promotion focus activated,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the regulatory means. In emotional responses, fi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motional score immediately after the final career selection compared to non-fits with a significantly lower negative emotional score. In cognitive reactions, fits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onfidence in their career choices compared to non-fits. Second, in case of the prevention focus group,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regulatory focus and the regulatory means. In emotional responses, fits had significantly lower positive emotional scores compared to non-fits, with significantly higher negative emotional scores. In cognitive reactions, fits had a significant amount of memory for job information compared to non-fits. The regulatory fit effect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ound i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facilitate psychological adjustment.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