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79.60
3.17.79.60
close menu
KCI 등재
사회계층 및 학벌에 따른 제약과 괜찮은 일간 관계: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lass, Academic Prestige related Constraints, and Decent Work: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안진아 ( Jina Ahn )
상담학연구 20권 5호 133-153(21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22938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일의 심리학 이론(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의 이론적 모형을 한국 성인 직장인에게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계층과 학벌에 따른 지각된 제약이 괜찮은 일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그리고 이 경로를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풀타임 일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3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 검증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계층은 괜찮은 일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 경로를 일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이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계층이 높은 수준의 일자유의지 및 진로적응성을 거쳐 궁극적으로 괜찮은 일에 이르는 이중 매개 경로 또한 유의하였다. 둘째, 학벌에 따른 지각된 제약은 일 자유의지를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일 자유의지는 학벌에 따른 지각된 제약과 괜찮은 일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에 따른 지각된 제약이 진로적응성 그리고 괜찮은 일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자본 수준이 진로적응성과 일 자유의지라는 진로역량 그리고 괜찮은 일 달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아울러, 학벌에 따른 지각된 제약은 진로 선택장면에서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점을 기술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apply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 among South Korean adult employees. This study investigated if perceived constraints depend on social class, academic prestige predict decent work, and whether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mediate the path.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r 318 South Korean adult workers who have a full time job.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social class predicted decent work positively, and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partially mediated the path. In addition, the dual mediation path that reaches ultimately decent work through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f high level of social class was significant. Second, academic prestige related constraints only negatively predicted work volition. Work volition fu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cademic prestige related constraints and decent work. The perceived constraints of an individual’s education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career adaptability and decent work.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socioeconomic resources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work volition and the process of securing decent work. Also, the perceived constraints of an individual’s education might significantly be a barrier to the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