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32.230
18.223.32.230
close menu
KCI 등재
독서토론 지도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문헌 연구
A Literature Review on Elements of Teaching Book Discussions at Schools
백혜선 ( Paik Hyesun ) , 김영란 ( Kim Youngran )
한국어문교육 29권 43-75(33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200158

이 연구는 초·중·고 학교 독서토론 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향후 연구와 교육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독서토론의 목표/유형, 텍스트 선정, 학생들의 상호작용, 교사의 지도와 평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교사의 수업목표, 텍스트에 대한 입장 차이나 토론 방법, 교사와 학생의 권한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독서토론 유형이 가능하다. 독서토론에서 사용하는 텍스트는 텍스트 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독자와 교실 맥락을 고려하여 학생과 교사가 함께 적합 도서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는 참여자의 수, 다양성, 학습자의 사회성 등을 고려하여 모둠 구성을 하고 촉진자, 참여자, 중재자, 적극적 청자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향후에는 교사의 대화이동 분석을 통해 교사의 구체적인 지도 방법뿐 아니라 독서토론과정에서 포착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독서토론 평가로 실제적 평가가 제안되었는데 관련 논의는 부족한 편이어서 향후 교실맥락에 부합하는 실제적 평가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book discussions at school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suggested areas for future research. To achieve this, we focused on book discussion goals, text selection, students’ interactions, teachers’ support and assessment. Book discussions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participants’ stances toward a text, discussion methods, and the authorities that teachers and students share. When selecting texts to be used in book discussions, elements in the text itself, as well as readers and classroom context,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s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together need to select a suitable text in collaboration. In order for book discussions to be successful, teachers need to consider the number, diversity and sociality of participants in a group. In book discussions, teachers can play various roles, such as facilitators, participants, mediators and active listeners. The studies of teachers’ discourse moves will help teachers purposefully select and use instructional dialogues, and these will serve as a tool for researchers to analyze some problems arising during book discussions. Finally, some previous researches suggested authentic assessments to assess book discussions but few relevant researches can be found. Thus, researches related to authentic assessments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1. 머리말
2. 독서토론의 목표 설정과 분류
3. 텍스트 선정
4. 학생들의 상호작용
5. 교사의 지원
6. 시사점과 향후 과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