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4.62
18.117.184.62
close menu
KCI 등재
양태동사‘회(會)’의 기능 연구 -동적 양태 기능을 중심으로
Analsis on Modal Verb “hui(会)”in Modern Chinese
박재승 ( Park Jae-seung )
중국학연구 82권 149-171(23pages)
DOI 10.36493/JCS.82.7
UCI I410-ECN-0102-2021-900-000175005

본고는 ‘능력 양태’를 나타내는 ‘會’의 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본고는 아래와 같이 3가지 소주제로 구성이 되어있다. 첫 번째, ‘학습을 통해 획득한 능력’은 ‘능력 양태 會’의 대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관점에 의하면 이는 ‘선천적 기능’과 변별되는 ‘학습을 통한 후천적 기능’이다.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으로 분류된 기존 연구의 관점으로는 분석이 불가능한 현상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을 위해 맥락 정보에 의한 상대적인 기준에 의한 분류를 제안을 하였다. ‘학습 과정이 연상되는 경우’를 ‘개별 능력’으로, 연상이 되지 않는 경우는 ‘보편 능력’으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 ‘很會+VP구조’에 출현할 수 있는 VP의 의미 기준에 대한 논하였다. ‘보편 능력’만이 구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개별 능력’은 사용될 수 없다는 魯曉琨(2004)관점의 타당성에 대해서 우선 언급을 하였다. 하지만 ‘보편 능력’임을 판별해내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단점 해소를 위해 본고는 ‘맥락 의미 기반의 판별법’과 ‘주관화기제에 의한 보편 능력 전환’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會’는 특정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어휘와 공기하지 못하는 반면, ‘能’은 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선 ‘會’는 [+항상성]이고, ‘能’은 [-항상성]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왜 이러한 특징이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하질 않았다. ‘能’이 가지고 있는 ‘특정 능력의 회복과 상실’이라는 기능은 [+변화]이며, 바로 이러한 기능이 특정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어휘와의 공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바로[-항상성]의 근거가 되며, ‘會’가 [+항상성]인 이유에 대한 설명도 된다.

现代汉语中的“会”有两个意思, 分别可记做“会1”和“会2”。“会1”可以表达动力情态“本领”, 表示“技能”和“本能”, 也就是“施事的本领”, “会2”可以表达认识情态”盖然”, 表示“说话人对事件发生可能性的推测”, 它表达的认识情态定位于“可能”与“必然”之间的“盖然”。本文只讨论“会1”, 不涉及“会2”。 本文大致分为三大板块板块, “或然能力”和“必然能力”之间的分界线模糊不明, “打扮”这个词汇到底是属于“或然能力”呢, 还是属于“必然能力”呢?比如说, “你放心, 她也是女孩子, 当然会打扮自己。”这里的“打扮”属于“必然能力”, 表示“人人都会的普遍能力”, 可是“你也要会打扮自己呀!”这里的“打扮”属于“或然能力”, 表示“通过学习而获得的能力”。根据上下语境, 如果能联想到【+学习过程】就把它归属于“或然能力”, 与此相反, 把它归属于“必然能力”。 第二板块, 只有“必然能力”才能出现在“很会+VP”构式里。根据这个规定, “他很会开车。”这个句子被判断为病句, 但在日常生活中经常能听到这个句子, 难道规定是有错误的吗?不对!规定是正确的, 只不过判断“必然能力”和“或然能力”的标准是有错误的, 是因为这“必然能力”和“或然能力”不能光靠词汇意义来判断的。没有上下语境时, 被判断为“必然能力”的词汇, 表示“必然能力”典型的词汇, 比如“说话”, 这个词汇如果在特定语境的衬托下, 则转换为“或然能力”, 比如“孩子太小, 还不会说话”。还有, 说话人也能靠着“主观化机制”这一开关来操作转换能力类型的。 第三板块, 以往的研究指出, “会”具有【+恒常性】这一语义特征, 因此不能跟表示特定地点或者时间的词汇共现, 正好相反, “能”没有这一特征, 能跟这些词汇共现。但没人提起过这两个情态动词在语义上为什么产生这样的对比情况。“能力情态动词”要跟表示特定地点、时间的词汇共现, 非具有【+变化】这一语义特征。只有“能”才能表示“能力的回复和消失”的语法意义, 这一语法意义这符合【+变化】这一语义特征, 其实【+变化】跟【-恒常性】是表示同样概念的两个变体。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Ⅲ. 양태 동사‘会’의 기능 분석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