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93.207
18.226.93.207
close menu
KCI 등재
체언 어간말 자음의 교체양상에 따른 언어지리학적 연구 -전남 방언을 중심으로-
A Linguistic Geographical Study in Accordance with Alternation Patterns of Consonants in Substantive Stems -Focused on Jeonnam dialect-
이진숙 ( Lee Jin-sook )
방언학 23권 79-105(27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678005

역사적으로 종성의 위치에 올 수 없었던 체언 어간말 자음인 경우 패러다임 내에서 형성된 교체형에 의해 어간의 재구조화를 가져왔다. 그 결과로 국어의 체언어간은 용언어간과 다르게 단일한 기저형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전남 방언의 공시적 현상을 보면 교체형에서 변이형이 나타났고 그 변이형에 의해 또 한 번의 재구조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저형의 변화는 현대 전남 방언에 와서도 계속 진행되고 있었다. 다만 현대 전남 방언에서 관찰되는 기저형의 변화는 과거 교체형이나 변이형에 따른 재구조화가 아닌 기존의 어간 형태소와 어미 형태소가 결합하게 되면서 교체 환경에서 모양을 달리하며 기저형의 수나 유형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다시 말해 기저형의 수, 기저형의 유형, 기저형의 지리적 분포 등에 나타나는 변화였다. 20세기 전남 방언에서는 하위어 방언구획을 ‘동부’와 ‘서부’로 나누고 이를 다시 동북ㆍ동남과 서북ㆍ서남으로 나누었다. 그러나 현대 전남 방언의 체언 어간말 자음에 따른 기저형들의 지리적 분포양상으로는 남북은 의미가 없었다. 동부의 경우 동남부에 있던 지역들이 서부로 편입되었고, 서부의 경우 남북이 비슷한 분포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In case of consonants in a substantive stem - historically not used to be placed in final consonants - restructuring of stems was caused by alternants formed within the paradigm. As a result, substantive stems in Korean language have single base forms unlike predicative stems. But examining synchronic phenomena of Jeonnam dialect in the 20th Century, the study found that variants emerged from alternants, which brought forth another restructuring in turn. Alteration of base forms as such has been underway even in modern-day Jeonnam dialect. That said, alternation of base forms as observed in modern Jeonnam dialect, rather than restructuring caused by alternants or variants in the past, had different forms in the alternation environment by combination of the existing stem morphemes and ending morphemes, and consequently showed a diverse range in the number and patterns of base forms. In other words, this was the outcome widely shown in the number, patterns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base forms. In the 20th Century's Jeonnam dialect, dialect division of hyponyms was done by 'east' and 'west', which were again divided into northeast/southeast and northwest/southwest respectively. But from the viewpoint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base forms rising from consonants of substantive stems in modern Jeonnam dialect, there is no meaning in division of south and north. It's because in the east, areas previously belonging to southeast was included into the west, and in case of the west, south and north showed similar distribution patterns.

1. 서론
2. 체언 어간말 자음의 교체양상
3. 기저형 설정
4. 체언 어간말 자음의 기저형 분포양상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