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74.248
18.221.174.248
close menu
KCI 등재
어촌 바람명의 명명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vocabulary related to wind of everyday words at fishing village
박원호 ( Park Wonho )
방언학 23권 155-182(28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678030

바람은 어촌의 기층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바람 이름 연구는 바람이 기층 생활과 밀접한 요소인 것을 주목하여 주변의 환경과 결부하여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소홀히 하고, 바람을 방위 개념으로만 국한하여 조사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이 글은 어촌에서 쓰이는 바람 이름 연구로서,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에서 지역(방위)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이 제보자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음을 주목한다.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를 검토하는 데에서 발견한 사실을 토대로 어촌 지역의 바람 이름에 드러나는 지역적 차이를 발견하고 달리 나타나는 어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의 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부 바람이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한 예로 ‘뒤바람’이 대체로 ‘북풍’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서풍’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변 특정 지역에서부터 불어오는 것으로 바람 이름을 명명하는 ‘사천내기(욕지도)’, ‘원산내기(강릉시)’의 용례로 미루어보아, 각 지역마다 불어오는 지역에 따른 인식도 반영될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이 글은 조사 지역 안에서 방향에 대한 인지적인 요소에도 주목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지역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 간의 차이는 바람의 이름을 명명하는 방식에서 있어 화자(제보자)의 주관적인 방향 인지 양상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람 이름의 연구에서 민족지학적 연구와 그에 따른 인지적 연구가 동반되어 이루어진다면 조어 규칙이나 의미 및 어원에 대한 검증 문제가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글에서는 조사된 어휘 중 주관적 방향 인지가 나타나는 어휘를 ‘공간’ 개념과 ‘시간’ 개념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안(內: 안마샛바람), 높다(높새 바람), 맞다(맞바람), 처지다(처진갈)’와 같은 명칭을, 후자는 ‘늦다(늦마파람), 갈(秋: 늦갈)’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Wind is an important part in basic life at fishing village; thus, study on names of wind need to be thought in conjun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focusing on close relationship of wind and basic life. However, in the former studies, wind was only studied as concept of wind direction. This study, research on names of wind used at fishing village, focuses on relation of informa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names of wind surveyed in Ethnic Living words Research2, 2013. Moreover, this study discovers the regional difference founded in names of wind at fishing village and examines the meaning of words, based on the result discovered in Ethnic Lving words Research2, 2013. According to that book research, some wind has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region. For example, ‘Duibaram’ is usually used as ‘North wind’ while that means ‘west wind’ at east coast of Korea. In the following examples-’ Sacheonnaegi(yokjido)’, ‘Wonsannaegi(Gangneung)’- which name wind by surrounding geographic feature, subdivided wind direction of each region reflects direction recogni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discuses the necessity of attention to cognitive element of direction in the region. In naming wind method, the difference among wind names surveyed in each region reflects narrators(informants)’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which relates to surrounding environment (geographic feature). If cognitive research is accompanied by ethnographic research on surrounding environment in ‘name of wind’ study, verification problems of coinage, meaning, or origin of words could be solved. In this study, words representing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of surveyed words were classified with ‘space’ and ‘time’ types. The former includes ‘An(內: Anmasatbaram), Nopda(Nopsaebaram), Matda(Matbaram), Cheojida(Cheojingal)’ and the latter explains ‘Neutda(Neutmaparam), Gal(秋: Neutgal).

1. 머리말
2.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
3. 바람 이름의 명명 방식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