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214
3.145.191.214
close menu
KCI 등재
생태위기와 에코페미니즘의 ‘젠더’론 ― 젠더의 저항성 회복을 위한 모색
Rethinking on Gender of Ecofeminism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es: For Promoting its Political Activism
박혜영 ( Park Hye-young )
인문논총 76권 4호 325-356(32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0678822

본 논문은 여성과 자연의 상호연관성을 강조해온 에코페미니즘의 젠더론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의 억압과 자연의 약탈이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에 의한 동일한 산물이라고 보기에 페미니즘적 관점을 에콜로지에 접목시킬 것을 주장한다. 하지만 에코페미니즘의 젠더론은 여성과 자연의 친밀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여러 페미니스트들로부터 본질주의라는 비판을 받는다. 여성과 자연의 상호연관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여성억압의 근거인 가부장제의 논리이자 동시에 ‘여성’이라는 단일 범주 안에 포함되지 못하는 타자들을 배제하는 논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즈와 같은 사회주의 에코페미니스트들은 제3세계 토착여성들의 젠더문화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자연과 생계를 돌보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이들의 젠더문화야말로 생태위기를 초래한 자본주의에 저항할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에코페미니즘의 젠더론에 담긴 연대와 협력의 정치성에 주목하여 이를 버틀러의 젠더 수행성과 비교함으로써 전자의 생태적 저항성을 되살리는 것이 생태위기 시대에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This essay clarifies the concept of gender of Ecofeminism, a theory of combination of ecological and feminist approaches with a strong emphasis on the connections between women and nature. Ecofeminism insists on bringing feminism and ecology together because it views the domination of women and the degradation of nature as the same consequences of both patriarchy and capitalism. However, Ecofeminism is charged as essentialism and discredited by many feminists due to of its idea of women’s closeness to nature. The idea of affinity of women and nature in Ecofeminism is regarded to be of the same logic of patriarchy, in which men predominate all the privileges while women are treated as being inferior to men. Also the idea of a single category of women in Ecofeminism excludes many different gender identities, just as the same exclusion principle of the patriarchy system. The criticisms on the essentialism, however, can be rebuked by examining the social strength what Maria Mies asserts as a foundation of the third world indigenous women’s activism against the dominance of the transnational capitalism. Their communal gender culture can be a powerful alternative for the sustainable future of the Earth. For promoting political activism that this communal culture traditionally has, this essay examines Mies’s concept of gender in comparison with Judith Butler’s concept of performitivity of gender identity.

1. 들어가며
2. 여성과 자연의 상호연관성
3. 젠더의 정치적 저항성과 생태위기
4. 젠더의 생태적 저항성을 위하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