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101
18.118.12.101
close menu
KCI 등재
박용래 시의 불교생태관과 공동체적 의의
A Buddhist Ecological Thoughts and Communal Meaning of Park Yong-Rae's Poetic World
김지연 ( Kim Ji-yeon )
한국문학연구 56권 93-123(31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615125

이 논문에서는 박용래 시전집 『먼 바다』를 대상으로 하여, 작품에 드러난 불교생태관과 그 속에 내재된 공동체적 의의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 사용된 ‘공동체’의 의미는 단지 인간 사이의 한정된 관계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생태계 전반으로 확장된 개념임을 전제로 한다. 논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가진 욕망과 집착의 문제는 공(空)에 대한 인식의 오류에서 비롯된 것이다. 박용래 작품에 드러난 무소유 사상은 인간의 과도한 욕망과 집착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이 크다. 둘째, 박용래의 시세계에는 연기 원리에 의한 삼라만상의 상호의존적 속성이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관계성에 대한 자각은 나 자신의 아상(我相)을 털어내고 관계적 맥락에서 스스로를 점검하게 한다. ‘나’에게서 벗어나 법계연기의 구성원(관계적 무아)으로서 모두를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는 마음의 자세를 갖게 되는 것이다. 셋째, 불성론(佛性論)을 토대로 하여 살펴볼 때, 박용래의 시에는 동등한 자격을 가진 만물의 조화로운 상생과 윤리가 드러난다. 그의 시에는 물질문명의 이분법적 세계관 속에서 인간에게 홀대 당했던 타자들이 병치은유를 통해 적시됨으로써, 그들 본연의 내재적 가치와 동등한 자격이 드러난다. 작품 속에서 그들은 각자의 특성과 차이를 바탕으로 하여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조화로운 상생을 보여준다. 박용래 시에 드러난 상호존중과 배려의 생태 윤리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가 윤리적 주체이자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Buddhist Ecological ideas and inherent communal meanings in Park Yong-Rae's poetry. The meaning of Community used in this paper is an extended concept of relationship not just for human but for all natural worlds. Contents discuss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 problem of obsessions and desires came from a perceptional mistake toward Emptiness. Non-possessive thought revealed in Park's poetic works give a great implication how to control human being's unreasonable obsessions and desires. Secondly, an interdependent attribute of all creation which was caused by Yeon-gi theory is emerged from Park's Poetic world. Owing to an awareness of interdependence, we can deviate from “ourselves” and then learn a natural attitude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all nature. Thirdly, based on theory of Buddha nature, all creature which deserve equal treatment show harmonious co-existence and ethics in Park Yong-Rae's poetry. Through Diaphor, his poetry presents the others neglected and instrumentalized by human in dichotomic world-view so that their inherent values and equal rights are revealed. They show harmonic co-existence as community members based on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Ecological ethics of a mutual respect and a consideration that revealed from the poetry have great significance because they point out that all nature can be an ethical subjects as well as objects.

1. 머리말
2. 공(空)의 인식과 무소유
3. 연기적 세계의 상호의존성
4. 상생과 조화의 윤리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