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96.59
18.223.196.59
close menu
KCI 등재
식민지시기 시에 나타난 ‘두만강’의 위상과 경계 인식
Status of ‘Tuman River’ and Perception of Boundary on the Poetry of the Colonial Period
정영효 ( Jung Young-hyo )
한국문학연구 56권 153-177(25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615145

이 글은 식민지시기 두만강이 가진 성격에 접근하면서 노자영, 김기림, 김조규, 이용악과 같은 당시 시인들이 두만강을 매개로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살펴본다. 그들은 여행을 기반으로 두만강을 바라보는 동안 자신들의 입장과 시각에 따라 두만강을 대상화하면서 체험이 가지는 구체성을 통해 두만강을 해석했다. 두만강은 조선이 오랫동안 지켜온 중국과의 경계라는 의미와 백두산, 동해와 연결된 신성한 자연물이라는 성격이 합쳐져 조선인들에게 전유되었다. 하지만 식민지시기 두만강은 제국의 전략적 지역이자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인 채 만주와 식민지 조선을 구분하는 국경으로 변했다. 특히, 만주사변과 만주국 건국 이후에는 제국 일본의 지배력이 간도에 본격적으로 미치기 시작했으며 이런 변화들은 조선인이 두만강을 인식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당시 국토는 민족의 정체성을 표상하는 대표적인 기제였고 국경으로서의 두만강은 복잡한 내외부의 정세 속에서 국토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곳이었다. 기존부터 이어져온 인식이 두만강의 존재를 새기게 하는 요소였다면, 식민지 상황은 두만강에 대한 인식에 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런 충돌이 두만강에 대한 시인들의 시각을 날카롭게 만들었다. 역사·지리적인 요소를 현실에 투사하면서 그들은 두만강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해석했다. 여행 목적과 체험의 양상은 조금씩 달랐지만 그들은 ‘두만강’이라는 공동의 기억을 토대로 ‘조선/민족’을 작품에 반영했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poets such as No Zayoung, Kim Kirim, Kim Jogyu, and Lee Yongak during the colonial perio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through the Tumen River. They interpreted the Tuman River through the specificity of experience while targeting the Tumen River according to its position and perspective while looking at the Tumen River based on the trip. The Tumen River has been appropriated to the Chosun people because of its long-standing boundaries with China and the nature of Baekdu Mountain and the sacred natural products connected with the East Sea. Howev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Tumen River changed into a border separating Manchuria and colonized Chosun, under the influence of Imperial Japan and the strategic region of the empire. Especially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guo, the dominance of the Imperial Japan began to spread to Gando, and these changes had a great impact on the recognition of the Tuman River by Koreans. At the colonial period, the country was a representative mechanism represent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the Tumen River as a border was a place to evoke the importance of the country in the complex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The colonial situation caused a crack in the perception of the Tumen River. This collision sharpened the view of the Tumen River. While projecting historical and geographical elements to reality, poets interprete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umen River. The purpose of travel and experiences were slightly different, but they reflected ‘Chosun / Nation’ in their works based on the common memory of 'Tuman River'.

1. 조선 여행과 두만강
2. 두만강의 역사와 변화된 위상
3. 국경의 감각과 조선 인식
4. 두만강, 그리고 전유되는 기억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