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2.223
18.119.132.223
close menu
KCI 등재
SNS시대 짧은 시 대안으로서 단시조
Shot Sijo as a Short Poem Alternative
이송희 ( Lee Song-hee )
국제어문 83권 235-255(21pages)
DOI 10.31147/IALL.83.10
UCI I410-ECN-0102-2021-800-000607161

이 글은 SNS시대 짧은 시 대안으로서 단시조의 가능성을 트위터 양식의 활용을 제안하며 살펴보았다. 필자는 독자로 하여금 시조의 특수성을 경험하게 할뿐만 아니라 시조의 대중화를 위한 영상 글쓰기로 확장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흥미로운 관찰의 지점들을 확보하고 있는 트위터의 속성은 최소의 글자 수로 독자들과의 소통과 공감을 이끌 수 있는 미디어 매체로서 단시조의 속성과 닮았다. 140자라는 발신 정보량의 제한과 문학 유통 구조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트위터의 특징은 파급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시조의 기본형인 단시조는 3·4조의 운율로 전체 글자 수가 대략 43∼45자가 된다는 점에서 전달력이 높다. 무조건 글자 수에 맞춘다고 단시조가 될 수는 없다. 절제된 언어의 미학에서 비롯되는 단시조의 특징은 자수를 맞추기 위해 띄어쓰기를 무시하거나 줄임말을 쓰고 있는 하상욱 류의 경향과는 차별화되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글자 수의 제한은 의사 전달의 함축을 강제하고, 다른 한편 사진과 영상 매체가 동원될 수 있는 여지를 둔다는 점에 주목하여 사례를 제시하였다. 단시조의 활용 가능성을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한 멀티포엠과 영상 글쓰기로 진행하는 사례는 디지털 시대에 부응하는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도 활용가능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이를 트위터 글쓰기에 적극 활용한다면 최소의 형상화로 최대의 심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SNS라고 하는 익숙한 매체의 활용과 디지털카메라(핸드폰)의 사용으로 문학적 글쓰기와 디지털 글쓰기라는 두 가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SNS 문학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고 이와 함께 디카 시론에 대한 다학제적관점의 연구가 지속되면서 문학연구와 글쓰기 연구의 패러다임이 형성되는 지점에 이 글이 바탕이 되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erhaps, you mean “short sijo?” Please check and revise.shot sijo as an alternative to short poems, in the line with SNSand Twitter style writing. This allows the reader to experience sijo’s particularity. Moreover, it can be extended to visual writing popularizsijo. Twitter, which encourages substantial points of observation compared to other network services, resembles shot sijo as a medium that can communicat and empathize with readers within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This has been revised to enhance the contextual clarity and logic.Twitter has a ripple effect because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literature by limiting the amount of outgoing information to 140 charactersShot sijo, which is the basic sijo, is effective in that the total number of letters is about 43∼45 characters with 3/4 trillion rhymes. Sijo cannot be written by unconditionally adjusting the number of letters. Shot sijo originated from the aesthetics of restrained language, and it is an alternative to Ha Sang-wook’s tendency to ignore or abbreviate spacing to match embroidery.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characters strengthen the implications of communication. If you are referring to a case study then consider the following revision, for clarity: “A case study is conducted which suggests the mobilization of sijo in…media.” The case is given that suggests the mobilization of sijo in photographic and video media.. The inclusion of shot sijo in digitaland video writing suggests that it can also be used for digital education purposes. If you actively use this writing style in Twitter, you can get optimum aesthetic effect with minimum shaping. The use of SNS, a familiar medium, and digital camera (cell phone) This may be a bit confusing for your readers. For clarity, you may revise this as: “show that maximizing the effects of literary and digital writing is possible with the correct amount of motivation.”make sense of research in that it is easy to motivate to maximize two effects, literary writing and digital writing.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of SNS literature will be established and the paradigm of literary and Perhaps, you mean “digital writing?”writing research will be formed as the study of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n Please clarify this word so that I can help you in revising the sentence accordingly. dicysiron continues.

1. 들어가며
2. SNS시대 문학의 현상과 단시조
3. 디카시(시조)와 영상 글쓰기 전략으로의 가능성
4.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