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56.45
3.19.56.45
close menu
KCI 등재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나타난 ‘、’의 양상과 그 특징
A study on the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ㆍ’ that is Revealed in Dongguksinsoksamganghangsildo -Focused on the Chungsindo-
윤희선 ( Yun Hee-sun )
반교어문연구 53권 215-249(35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595600

본고는 17세기 초기의 『동국신속삼강행실도』 忠臣圖에 나타나는 ‘ㆍ’ 변화의 예들을 바탕으로 그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여, 이 시기에 비어두음절에서 나타나는 ‘ㆍ’가 단순히 표기의 대상이 아니라 음성적으로 실현된 음운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많은 예들에서 ‘ㆍ>ㅡ’의 변화도 보였지만, 여전히 ‘ㆍ’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예들도 많아 ‘ㆍ’의 제1단계 변화가 완성되었다고 하기보다는 점차 확산되어 일반화가 되어가는 과정 중에 있다고 보았다. 기존의 논의들에서는 이 문헌에 나타나는 ‘ㆍ’의 예들을, ‘ㆍ>ㅡ’ 변화가 완성된 이후의 것으로 보고, ‘문법형태소로서의 편재’, ‘특정 자음 다음에 나타나는 예외적인 표기’ 등으로 논의하였다. 그러나 ‘ㆍ’가 나타나는 양상을 음운론적ㆍ문법론적 조건에 따라 분류하여 본 결과, 기존의 논의와는 다른 특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ㆍ’가 나타나는 경우가 문법형태소에 편재되어 있다고 하였으나, 문법형태소뿐만 아니라 어휘형태소에서도 많은 예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ㆍ’가 나타나고 있는 예들이 ‘ㄴ, ㄷ, ㅌ, ㄹ, ㅅ, ㅈ, ㅊ’ 등의 특정자음 아래의 환경에 집중되었고, 이 환경에서는 오히려 ‘ㆍ>ㅡ’의 변화의 빈도는 낮고, ‘ㆍ’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ㅡ>ㆍ’의 변화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예들을 예외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이러한 자음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음성 자질이 ‘ㆍ’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16세기에 비어두음절에서 ‘ㆍ>ㅡ’의변화가 완성되었다는 논의에서 벗어나, 이 변화가 점차 확산되어 일반화가 되어가는 과정 중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동국신속삼강행실도』 忠臣圖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앞으로 근대국어 초기의 다양한 문헌을 바탕으로 ‘ㆍ’가 나타나는 양상과 그 특성을 논의해 보아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This research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based on the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ㆍ’ that is revealed in Dongguksinsoksamganghangsildo’s Chungsindo, the position of ‘ㆍ’ in non-initial syllables in the early 17th century is not simply a type of transcription but also a phoneme that has been realized through phonetic transcription. Also, along with the phonetic transformation from ‘ㆍ’ to ‘ㅡ’, there are many examples that include ‘ㆍ’. So we made our decision that ‘ㆍ’ has not completely gone through the first phase of phonetic transformation, but rather, the transformation is going through a process of generalization through gradual distribution. In previous discussions, the examples of ‘ㆍ’ in this document were considered to be examples that appear after the phonetic transformation from ‘ㆍ’ to ‘ㅡ’. These examples have been discussed under ‘ubiquity of grammatical morphemes’ and ‘exceptional transcriptions that occur after specific consonants’. However, after we categorized the examples of ‘ㆍ’ using grammatical and phonological conditions, we found that ‘ㆍ’ has made its appearance in many other examples of not only grammatical morphemes, but also lexical morphemes. Moreover, examples that include ‘ㆍ’ are concentrated under specific consonants, such as ‘ㄴ, ㄷ, ㅌ, ㄹ, ㅅ, ㅈ, ㅊ’. Against this backdrop, the frequency of the phonetic transformation from ‘ㆍ’ to ‘ㅡ’ was discovered to be low. On the contrary, the frequency of ‘ㆍ’ has either reached status quo, or the frequency phonetic transformation from ‘ㅡ>ㆍ’ is high.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se examples should not be considered merely exceptional and the phonetic qualities embedded in the above consonants must have had influence on the transformation of ‘ㆍ’. Finally, focusing on the discussion points above, we have concluded that the phonetic transformation from ‘ㆍ’ to ‘ㅡ’ in non-initial syllables in the 16th century has not been completely realized. Instead, this transformation is a result of undergoing generalization through gradual distribution. However, such discussion is limited only to the linguistic phenomena revealed in Dongguksinsoksamganghangsildo’s Chungsindo. We are faced with challenges that relate to future discussions on the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ㆍ’ in early modern Korean, based on various documents throughout history.

1. 서론
2.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ㆍ’에 대한 기존의 해석과 논의의 고찰
3. 『동국신속삼강행실도』 忠臣圖에 나타나는 ‘ㆍ’의 양상과 그 특징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