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14.94
3.138.114.94
close menu
KCI 등재
‘하-’ 구문의 통사론과 의미론
Syntax and Semantics of ‘ha-’ Constructions in Korean
양정석 ( Yang Jeong-seok )
배달말 65권 49-106(58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597318

표준적인 형식의미론의 체계와 ‘개념구조의 대수 체계’를 통합함으로써 의미 해석 과정에서 보충적 의미를 수용하는, 미명세화된 의미를 명세화하는 형식 체계를 수립하고 이에 입각하여 다양한 ‘하-’ 구문의 의미를 기술했다.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국어의 ‘하-’ 구문들은 의미 해석의 과정에서 언어적 문맥 또는 화용적 맥락에 의거하여 의미가 보충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다. “죄수가 탈옥했다고 하는 사실” 및 ‘하-’가 형태음운론적으로 생략된 “죄수가 탈옥했다는 사실”을 대표로 하는 I유형의 ‘하-’ 구문은 내포절의 ‘-다고’와 보문명사 ‘사실’이 양방향에서 ‘하-’의 의미에 대한 제약을 부과하는 특징을 가진다. II유형의 ‘하-’ 구문은 연결어미 ‘-으려고’에 의해서 ‘하-’의 의미에 대한 제약이 주어지는 “나는 오늘 제주도에 가려고 한다.”와 같은 예문, 종결어미 ‘-을까’에 의해서 ‘하-’의 의미에 대한 제약이 주어지는 “나는 내일 제주도에 갈까 한다.”와 같은 예문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수많은 연결어미들, 종결어미들 각각의 의미 정의에 의해 그 선행 명제 의미와 ‘하-’의 의미가 제약되는 특징을 가진다. “선생님이 인호를 뛰게 했다.”와 같은 예를 대표로 가지는 III유형 ‘하-’ 구문은 구 단위가 그 의미구조와 대응되는 구문규칙이라는 형식의 통사-의미 대응의 규칙을 통하여 기술해야 하는 특징이 있다. “나는 커피를 한다.”로 대표되는 IV유형의 ‘하-’ 구문은 명사 의미의 사건 의미로의 전이에 따른 해석, 즉 공동합성에 상당하는 해석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해 종래의 어휘적 접근을 수용·조정한 의미 규칙 접근의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플라톤 철학을 연구를 한다.”, “그분이 쾌차하셨을 법하다.”로 대표되는 V유형 ‘하-’ 구문은 통사적 재구조화 원리에 의해 주어진 재구조화 지표를 바탕으로 특별한 의미 해석 규칙이 적용되어 해석되어야 하는 구문이다. 이 다섯 유형의 ‘하-’ 구문은 통사적으로는 ‘하-’가 머리성분으로서 그 보충어를 취하여 VP 구조를 이룬다는 점에서 공통되며, 포괄동사로서의 ‘하-’의 미명세화된 의미를 바탕으로 주어진 의미 해석의 원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해석된다.

An analysis of semantic composition for the 5 types of ‘ha-’ constructions in Korean is proceeded. Type I is a group of ‘ha-’ constructions, which is realized in adnominal clauses, is characterized by cooperative semantic effects from the complex complementizer ‘-tako’ and from the complement noun. The semantic composition of Type II ‘ha-’ construction is worked mainly by the meaning of the connective ending and the sentential ender as complementizers like ‘-ulyeko, -ulkka, . . .’ Type III ‘ha-’ construction is one which consists of DP, various category of XP, and the verb ‘ha-’. The syntax and semantics of it is unique in that the complex construction containing the 3 elements is represented by the verb ‘ha-’ syntactically, and the whole meaning of the construction is treated as the meaning of ‘ha-’. Type IV ‘ha-’ construction is a ‘ha-’ construction with substantival noun. Its semantic composition is problematic, because the substantival noun complement the vague meaning of ‘ha-’. It is argued that several Generative Lexicon approaches which have been applied to this construction, which are essentially lexical semantic approaches, should be accommodated into a more general semantic treatment. Type V ‘ha-’ construction is characterized by syntactic restructuring process for the interpretation of it. Two lexical elements are linked into one lexical unit by restructuring, and the semantic composition is proceeded on the base of indices made by the syntactic restructuring.

1. 들어가기
2. 포괄동사 ‘하-’와 ‘하-’ 구문의 범위
3. 다섯 가지 ‘하-’ 구문의 통사-의미 합성
4.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