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62.247
3.17.162.247
close menu
KCI 등재
동형다의 종결어미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발화양상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ntonation patterns and polysemous final endings: focusing on KFL learners
윤영숙 ( Yune Young-sook )
배달말 65권 137-161(25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597338

본 논문은 한국어 동형다의 종결어미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발화 및 습득양상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형다의 종결어미란 동일한 형태의 종결어미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를 말한다. 동형다의 종결어미의 의미는 마지막 음절의 경계 성조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동형다의 종결어미의 발화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한국어 표준어화자 5명과 중·고급 수준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10명의 낭독 문장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거든요’, ‘-(으)ㄹ걸’, ‘-(으)ㄹ 텐데’의 3개의 어미가 포함된 12문장이다. 이 세 어미는 모두 서법상 평서문의 형태를 띠며 두 개 이상을 의미를 지닌다. 이들 의미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 중 한국어 교육 중급 수준 이상에서 다루는 주요 의미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으)ㄹ걸’은 추측과 후회, ‘-(으)ㄹ 텐데’는 추측과 바람(아쉬움), ‘-거든요’는 뒤 문장을 말하기 위한 전제(배경)나 앞 문장의 이유를 주요 의미로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음운론적 분석과 음성학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음운론적 분석은 동형다의 종결어미의 마지막 음절에 실리는 경계성조의 형태를 억양 음운론적 틀에서 분석하였고 음성학적 분석은 경계성조의 피치변화 정도와 경계음절과 선행음절 간 평균 음높이 차이를 측정하여 1/4tone으로 정량화한 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인학습자들은 경계성조 형태 변별에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그러나 음성적 측면에서는 한국화자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경계성조의 피치변화는 한국화자의 약 50%수준에 머물렀고 선행음절과의 음높이 차이 또한 모국어화자와 달리 뚜렷한 대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동형다의 종결어미의 억양교육에서는 경계성조의 음운론적 속성뿐만 아니라 음성학적 특징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odic realization of polysemic sentence final endings in Korean produced by Chinese L2 Korean learners(CS). Some sentence final endings in Korean have more than two meanings and their different meanings are expressed by different sentence final boundary tones. To examine the prosodic aspects of polysemic sentence final ending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we analyzed the boundary tone types, the internal pitch variation of the boundary tones and two final consecutive syllables in the pitch level. The results was compared to that produced by Korean speakers(KS). In the production test, 10 intermediate and advanced CS and five native speakers of Seoul Korean participated. The material analysed constituted 12 Korean sentences contaning polysemic final ending ‘-eugeol’, ‘-eulthende’ and -geodeunjo’. Each of them has two main meanings and each meaning was expressed by different final boundary ton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sodic difference observed in the polysemic final endings produced by CS are not only caused by the difference of boundary tone type but also by the difference of internal pitch variation of the boundary tones and different pitch level of the two final syllables.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