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108.7
3.12.108.7
close menu
KCI 등재
근대 발해(渤海) 조선인 마을의 형성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Joseon Village during the Modern Balhae Era and Testimony
황인건 ( Hwang In Geon ) , 이승수 ( Lee Seung Su ) , 강동우 ( Gang Dong U )
한국언어문화 70권 5-32(28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581661

본고는 국권상실기 중국 黑龍江省 寧安市 渤海鎭에 조선인 마을이 형성된 배경과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현재 발해진에 거주하는 김두복 옹(1931~)의 증언을 주요 논거로 삼았다. 김두복 옹은 조선족 중국인이라는 민족과 국가의 이중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이중성에는 경계의 속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그를 경계인이라 지칭하였는데, 이는 외부의 관점으로 보아 그렇다는 것이지 그가 명시적으로 밝힌 자기 정체성은 아니다. 1920년대 초반 조선인의 중국 이주는 항일과 농사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때 寧安 일대는 사람과 물자가 넘나들기에 편리하고 생산력을 바탕으로 장기전에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방구가 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다만 이 시기 기록에는 아직까지 조선인의 발해진 유입에 관한 직접적인 내용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김두복 옹이 증언하듯, 이 마을의 본격적인 형성은 1930년대 이후의 일이다. 1930년대 조선인의 중국 이주는 주로 일본의 강제에 의해 이루어졌다. 1934년부터 본격화된 ‘집단부락’과 ‘안전농촌’ 건설, ‘자작농창정’ 정책이 이를 가능케 했으며, 이 시기 발해진을 포함한 東京城 일대의 조선인 인구 또한 눈에 띄게 증가했다. 특히 발해진의 경우, 안희제의 발해농장과 윤세복의 대종학원이 마을의 성장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발해농장은 경제 공동체와 독립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대종학원은 민족교육을 주도했다. 발해농장과 대종학원이 하필 이 지역에 설립된 것은, 물론 이곳이 고대 발해국의 오랜 도읍지였다는 사실과 깊은 관련이 있다.

This paper summariz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Joseon village formation in Bohaizhen, Ning’an, Heilongjiang province, China while Korea lost its sovereignty. The testimony by the old Kim Dubok(1931~) who lived in the present Bohaizhen in that process is selected as the main topic of discussion in this paper. The old Kim Dubok had the dual identity in terms of the ethnic group and the country, that is, as Korean Chinese. He was named a marginal man on the assumption that the dual identity contained the property of boundary. His dual identity was assumed by the external viewpoint, not by his definite declaration. Joseon people moved to China for anti-Japanese movement and farming in early 1920s. At that time, the area around Ning’an had the perfect condition as the site for independence movement because it was easy to make people or goods transported and enabled to be ready for long-term resistance on the basis of the productivity. However, there are no contents directly describing the inflow of Joseon people to Bohaizhen in the records on that period up to now. In accordance with the testimony by the old Kim Dubok, the village was earnestly formed since 1930s. The movement of Joseon people to China in 1930s was mainly forced by Japan. Such movement was enabled by the Japanese policies, ‘Collective Village’, ‘Safe farm Village’ and ‘Change from Tenant farming to Owner Farming’ which were accelerated from 1934. The population of Joseon people was remarkably increased around Dongjincheng including Bohaizhen. For Bohaizhen, the Balhae Farm of Anh Huije and Daejong School of Yun Sebok significantly contributed on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village. Balhae farm acted as the economic community and the base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Daejong School led the ethnic education. Establishment of Balhae farm and Daejong school in this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is area was the capital of ancient Balhae dynasty for a long time.

1. 문제 제기
2. 마을 역사의 증언자 소개
3. 抗日과 生産을 위한 자유 이민과 마을의 태동
4. 일제의 강압에 따른 집단 이주와 마을의 성장
5. 발해 마을을 중심으로 한 민족운동
6. 맺음말
[부록] 김두복 옹의 생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