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75.227
3.17.75.227
close menu
KCI 등재
이영도 시조의 현재성
The Nowness of Lee Youngdo’s Sijo
유성호 ( Yoo Sung Ho )
한국언어문화 70권 151-166(16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581727

이영도 시조의 개성은 부재하는 대상에 대한 애잔하고도 본원적인 그리움에서 대체로 발원한다. 그는 자연 사물이 생래적으로 가지는 존재 방식을 통해 그리움의 정서를 의탁하고 형상화한다. 그 점에서 자연 서정은 이영도가 가장 빈번하고도 주류적인 방식으로 취한 시작 원리가 된다. 그의 시조는 시대적 함축성과 자연사물의 원형성을 탄력 있게 결합시키는 작법을 취하면서 근원적 생명력의 탐색과 발견을 수행해간다. 그 핵심 이미지로 한 시대의 초상인 ‘보리 고개’, 선명한 감각적 매개로서의 ‘석류’, 존재론적 기원으로서의 ‘어머니’ 등을 호명한다. 또한 이영도 시학의 굳건한 핵심은 역사적 상상력에서 찾아질 수 있는데, 내면의 섬세함과 구체적인 역사적 기억이 단단하게 결속하는 특성을 지닌다. 결국 이영도는 현대시조가 지향해야 할 전언과 미학이 현실인식과 심미적 감각을 결합한 생명 사상에 있음을 노래하였고, 그 결과는 여전히 우리 시대의 현재형을 되살필 수 있는 강렬한 원천으로 기능해갈 것이다.

The distinct individuality of Lee Youngdo’s sijo rises from the plaintive and fundamental longing for absent objects. He entrusts and embodies the emotion of longing to the way of existence natural objects have inherently. In this respect, nature emotion has become the principle of writing poems taken by him as a most frequent and major way. Lee Youngdo’s sijo carries out the exploration and discovery of fundamental life force with the method of combining periodic implications and originality of natural objects. As essential images, he calls borigogae(the spring hunger), a portrait of the period, pomegranate, a medium of vivid sense, mother, an origin of existence. The core of Lee’s sijo is located in historical imagination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closely uniting the delicacy of inner worlds and detailed historical memories. Ultimately, Lee Youngdo wrote that the message and aesthetics of contemporary sijo was at life ideology combining the recognition of reality and aesthetic sense and it will function as a powerful source for reexamining the nowness of our period.

1. 시조문학사에서의 이영도
2. 정운(丁芸) 시학의 기원으로서의 그리움
3. 근원적 생명력의 탐색과 발견
4. 역사적 상상력의 세계
5. 근대 시조와 이영도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