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3.30
3.129.23.30
close menu
KCI 등재
온라인 대화 교육 연구 -중학생의 온라인 대화 양상에 대한 자기 분석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online conversation education-Focusing o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line conversation culture
이지선 ( Lee Jeesun ) , 김윤정 ( Kim Yunejung )
한국언어문화 70권 167-197(31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581732

이 연구는 중학생들이 스스로의 온라인 소통 양상을 메타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온라인 대화 교육 내용을 제안한 연구이다. 이에 중학교 3학년 147명의 카카오톡에서의 대화 경험에 대한 자기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카카오톡을 주로 친구와의 소통을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모티콘이 소통에 주로 활용되는 기호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친소 관계에 대한 고려가 담화 관습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첫째, 온라인 대화는 카카오톡과 같은 특정 플랫폼을 매개로 하므로 기술이 대화의 형식과 관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온라인 대화 장르에 대한 교육은 의사소통 교육과 플랫폼 등 미디어의 특성에 대한 교육이 통합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친소 관계 등은 대화상황에서 담화 관습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스스로의 대화 양상을 살펴 담화 관습을 확인하며, 담화 관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메타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의 대화 양상을 성찰하는 성찰 중심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을 통해 일어나는 부정적인 소통 경험을 교육의 장면으로 적극적으로 들여와서, 소통 경험의 원인과 양상을 실제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scourse customs in online convers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orm contents of online conversation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speech education based on them. In the meantime, the content of conversation education has been composed mainly of offline conversation situation. In this study, we used the actual conversation custom of online conversation through KakaoTalk to improve the actuality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analyzed data is meta - dialogue analysis data that analyzed first - grade students’ self - talk customs based on the data of the mind map composed of key word KakaoTalk and their relationship. Through the mind map, I looked at the awareness of the platform called KakaoTalk. Meta-Dialogue data were collected by suggest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o that students could reflect on their own discourse custom by referring to impression management theor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apes according to social infiltration theory. Based on these data, we analyzed the conversation customs formed in KakaoTalk by comparing them with existing dialogue education contents, and constructed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is analysis.

1. 서론
2. 온라인 대화 문화 분석을 위한 연구 설계
3. 중학생의 온라인 대화 문화
4. 온라인 대화 교육 내용 구성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