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7.244
3.141.27.244
close menu
KCI 등재
고령자 특성에 따라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 : 우리나라 거주지역 (수도권과 비수도권)과 성별을 중심으로
Does the Effect of Aging on Labor Productivity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ocusing on Region(Capital and Non-capital area) and Gender
정용훈 ( Yonghun Jung ) , 이성훈 ( Seong-hoon Lee )
UCI I410-ECN-0102-2021-300-000548328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7년까지 우리나라 16개 행정구역의 지역 패널 통계를 활용하여 거주지역과 성별에 따라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를 실증분석하였다. 거주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우선, 수도권 여부에 상관없이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수도권의 부정적 영향은 비수도권에 비해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도권의 남성 고령화는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키지만, 수도권의 여성고령화와 비수도권의 남성 고령화는 노동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비수도권의 여성 고령화는 노동생산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인 부정적 효과뿐만 아니라 고령화 특성에 따라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고령자 정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령자 특성이 면밀히 반영된 정책 수립과 실행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ging on labor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region of residence and gender using regional panel statistics of 16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from 1995 to 2017. Th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area divided into the capital area and the non-capital area shows that aging negatively affects labor productivity regardless of the capital area and the non-capital area, but the negative effect of the capital area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non-capital area. Second, male aging in the capital area improves labor productivity, but female aging in the capital area and male aging in the non-capital area reduces labor productivity, while female aging in non- capital areas has no effect on labor productivity.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effect of aging on labor productivity depends 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ag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the establishment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aging policy.

Ⅰ. 서론
Ⅱ. 고령화와 생산성의 관계
Ⅲ. 고령화와 생산성에 대한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