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56.114
3.19.56.114
close menu
KCI 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작문 영역 주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Key Terms in the Writing Area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최숙기 ( Choi Sook-ki )
청람어문교육 72권 281-303(23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536444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근거한 쓰기 및 작문 영역에 대한 주요 용어의 타당성을 고찰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통 국어(초1-고1)의 쓰기 영역과 고등학교 심화 선택 과목인 작문 교과에 관련한 교육과정 용어 중 주요 쟁점을 1) 쓰기 목적에 따른 글 유형 분류에 관한 교육과정 용어상의 쟁점과 2) 쓰기 평가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용어 상의 쟁점으로 분류하여 용어에 대한 통시적 고찰과 이론적 정합성을 논의하였다. 1) 쓰기 목적에 따른 글 유형 분류에 관한 교육과정 용어상의 쟁점의 핵심은 쓰기 목적 유형에서의 ‘친교ㆍ정서 표현’ 용어의 적합성에 대한 것이다. 친교와 같은 관계 형성 목적의 쓰기 목적과 표현적 쓰기 목적은 동일한 목적이나 기능 범주에는 속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2) 쓰기 평가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용어 상의 쟁점의 핵심은 1) 주요 특질 평가(Primary trait scoring)와 관련한 쓰기 평가 방법 유형 분류 제시의 문제와 2) 쓰기 평가 방법 제시에 있어 학년군별 비 일관적 제시의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major terms in the writing and writing area based o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m. For this purpose, the main issues of curriculum terminology related to the writing area of the common Korean language (elementary to high 1) and the composition subject, which is an advanced high school elective,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 of curriculum terminology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writing types according to writing purposes is about the adequacy of the term 'Friendship and emotional expression' in writing types. 'Friendship and emotional expressions' are hard to see in the same category of expression. Second, the core issues of curriculum terminology in the area of writing evaluation are: 1) the problem of classifying the types of writing evaluation methods related to primary trait scoring, and 2) the inconsistent presentation by grade group in the presentation of writing evaluation methods.

Ⅰ. 서론
Ⅱ. 쓰기 목적에 따른 글 유형 분류에 대한 교육과정 용어상의 쟁점 탐색: 쓰기 목적 유형에서의 ‘친교·정서표현’ 용어의 적합성 검토
Ⅲ. 쓰기 평가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용어상의 쟁점 탐색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