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16.183
18.217.116.183
close menu
KCI 등재
한·일 화장품산업의 대중국 수출경합관계 분석과 정책적 제언
A Study o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 Japanese Cosmetic Industry in China
김성철 ( Kim Sung Chul )
한일경상논집 85권 47-65(19pages)
DOI 10.46396/kjem.85.3
UCI I410-ECN-0102-2021-300-00052387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시장을 대상으로 한·일 화장품 산업의 경합관계를 분석하여 정책적인 제언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출경합도지수(ESI), 수출경합도 심화비율(ESDR), 무역보완성지수(TCI), 조정된 현시비교우위지수(ARCA), 무역특화지수(TSI), 다중회귀모형(multiple regression model) 등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기간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근 11년간(2008∼2018년)으로 한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일 화장품 산업은 중국시장에서 HS 3303과 HS 3304인 경우 높은 수출경합도 및 유사성, 비교우위로 나타났다. TSI 분석에서 한국과 일본의 수출특화 품목들은 HS 3304, HS 3305이고, 수입특화인 품목들은 HS 3307인 것으로 나타나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다중회귀분석인 경우 한·일 양국 모두에서 중국의 1인당 GDP와 RDS가 ARCA에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화장품산업에서 연구개발이 비교우위의 결정요인임을 알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를 고려하면 HS 3303인 경우 치열한 경합관계에 대응하여 부작용 방지 등 안전관리에 주력한 차별화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HS 3304인 경우 품질보증체제의 구축 및 소비자의 니즈나 취향에 적합한 세분화된 맞춤형 품목 개발로 소비자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HS 3305는 시장규모가 커지는 여건을 고려하여 모발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신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HS 3306인 경우 치아건강 및 미백기능을 강화시키는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규제완화 조치를 활용한 시장 선점전략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mpetit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smetic industry in China. Th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different indicators of ESI, ESDR, TCI, ARCA, TSI,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period was limited to the last 11 years(2008∼2018)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HS 3303 and HS 3304 were shown to be high competition, similarity, and comparative advantage items. HS 3303 of Korea and Japan were in comparative disadvantage in the China. In TSI analysis, the export-specialized items of Korea and Japan were HS 3304 and HS 3305. In the ca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hina’s per capita GDP and RD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RCA. Based upon the empiric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oduct differentiation, safety management in storage and handling, development of new items suitable for consumer’s needs and taste, rapid delivery system, and active promotion activities considering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Ⅰ. 서론
Ⅱ. 선행 연구의 검토 및 이론적 근거
Ⅲ. 화장품산업의 특성 및 대중국 수출 현황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