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20.133
18.222.120.133
close menu
KCI 등재
‘꽃의 신화학’ 서설 :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 탐색을 위한 시론
Introduction to “The Mythology of Flowers”: A Theory for Exploring the Mythology of Shamanism in Jeju Island
강진옥 ( Kang Jin Ok )
구비문학연구 55권 5-47(43pages)
DOI 10.22274/KORALIT.2019.55.001
UCI I410-ECN-0102-2021-700-00049021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제주도 큰굿에는 꽃을 서사의 핵심으로 활용하는 본풀이들이 상당수 발견된다. 이들 본풀이들은 이른바 ‘꽃의 신화학’으로 명명할 만한 구조적 유형성을 공유하고 있다. <천지왕본풀이>는 제주도 무속신화의 서사적 중추를 이루는 ‘꽃의 신화학’의 출발점이다. 꽃 피우기 내기’는 생명현상의 유지와 보존이라는 세계운행의 질서를 형상화한 것이다. 번성꽃을 피운 대별왕이 저승을 차지하고 꽃사발을 바꾼 소별왕이 이승을 차지했다는 신화적 사건은 제주도 무속신화의 세계관적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 소별왕의 인세차지는 번성꽃으로 표상되는 생명력을 활용하여 쇠퇴해가는 인세를 갱신시킨다는 신화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꽃과 관련한 신화적 인물들은 행위에 따라 ‘생산·창조자’, ‘활용·운용자’로 대별되는데, 대별왕(생산 및 창조자)이 피워낸 꽃을 가져온 소별왕(활용 및 운용자)에 의해 그 선례가 마련된 ‘생명현상의 쇠퇴와 갱신’의 구조는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를 관류하는 공통주제로서 다양한 본풀이에서 되풀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양상은 서천꽃밭에서 환생꽃을 가져와 생명을 되살리고 신격으로 좌정한 인물들(이공본, 세경본, 문전본 등)의 경우는 물론이고, 꽃과 무관하게 전개되는 본풀이 유형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차사본풀이>나 <멩감본풀이>는 죽음이라는 현상 앞에서 그것을 넘어서는, 또 다른 생명의 시작을 다루는 본풀이들이다. 제주도 무속은 저승이 새로운 삶의 관문이라는 인식을 의례적 절차와 본풀이를 통해 표명하는데, 의례가 생명현상의 갱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전례는 <초공본풀이>에서 마련되고 있다. 꽃-생명-세계는 제주도 무속신화의 신화체계 즉 꽃의 신화학에서 동일한 의미지향을 보여준다. 꽃은 생명현상의 표상이다. 생명현상은 세계공간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보여주지만 실상은 연속선상에 있다. 꽃은 생명현상의 정수이나 열매를 남기고 사라지고, 씨앗은 다시 생명으로 피어난다. 죽음으로써 무수한 생명으로 되살아나는 생명의 신비를 구현하는 식물적 생태를 차용한 상상력은 존재의 영속성을 보여주는 가장 구체적인 방법이다. 생명현상을 표상하는 꽃을 매개로 이승과 저승은 소통하고 삶과 죽음은 순환적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상상력 구조는 생명체의 유한성을 넘어서는 방법, 즉 죽음에서 생명으로 나아가는 길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 꽃의 신화학은 본풀이의 신화체계로서, 본풀이적 세계관이 구현해낸 생명에 대한 예찬이자 삶의 송가(頌歌)인 것이다.

In Big Gut, Jeju Island, many bonpul-i (shamanic myths) exist, wherein flowers are the core of the narratives. These bonpul-i share a structural typology that may be called the “mythology of flowers.” Cheonjiwangbonpul-i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mythology of flowers,” which forms the narrative backbone of Jeju's shamanic mythology. Flowering is a representation of the order of world operations (i.e.,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life phenomena). The mythical events, the Daebyeol-wang who flourished flowers that took the otherworld and the Sobyeol-wang who changed the flower bowl that took this world, form the basis of the worldview of the shamanic myths in Jeju Island. Occupying the human world of Sobyeol-wang implies the mythical meaning of renewing the declining human world by utilizing the vitality represented by the flourishing flowers. The acts of mythical figures related to flower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groups of 'producers and creators' and 'users and operators.' The decline and renewal of life phenomena, established by Sobyeol-wang (users and operators) who brought flowers that were made to bloom by Daebyeol-wang (producers and creators), are common themes that flow through the myth system of shamanism in Jeju Island. Such a pattern has been confirmed not only in the case of people who brought reincarnation flowers from the Seocheon Flower Field to revive life and settled as Godheads (e.g., Yigongbonpul-i, Sekyungbonpul-i, Munjeonbonpul-i, etc.), but also in the type of bonpul-i that is unrelated to flowers. The Chasabonpul-i and Menggambonpul-i are bonpul-i that deal with the beginning of another life beyond the phenomenon of death. Shamanism in Jeju Island expresses the recognition that the otherworld is the gateway to a new life through ritual procedures and bonpul-i. The precedent that rituals enable the renewal of life phenomena is provided in Chogongbonpul-i. The flower-life-world shows the same meaning orientation in the shamanic mythology of Jeju Island (i.e., the flower mythology). Flowers are a symbol of life. Life phenomena show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world space, but the reality is that it is in a continuous line. Flowers are the essence of life. Flowers disappear, leaving fruit, and the seeds bloom again into life. The imagination that borrows from the plant ecology embodying the mystery of life, which is revived into countless lives by death, is the most specific way of showing the permanence of existence. Through the flowers that represent life phenomena, this world and the otherworld communicate, and life and death form a cyclical relationship. This imaginative structure convincingly suggests a way beyond life's finiteness, the way from death to life. The mythology of flowers is the mythical system of the bonpul-i, a tribute to life and a hymn of life embodied by bonpul-i's worldview.

1. 서론
2. ‘꽃의 신화학’의 단초 : <천지왕본풀이>와 꽃피우기 내기
3. 서천꽃밭과 ‘꽃의 신화’ 구조
4. 의례, 생명, 세계의 관계양상 : ‘꽃/의례’의 불이성(不二性)
5. 꽃의 신화체계 : 죽음에서 생명으로
6.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