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01.16.34
34.201.16.34
close menu
KCI 등재
손창섭의 1960년대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난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과 양처 이데올로기의 균열 양상
Criticism of Patriarchal System and Crack Aspect of Good Wife Ideology in Serial Stories in a Newspaper by Son-Changseop in 1960's
박찬효 ( Park Chan-hyo )
UCI I410-ECN-0102-2021-800-000478959

1960년대는 ‘현모양처’ 개념을 견고화하고 여성의 종속을 더욱 강화하여 가부장적 질서를 유지한 시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손창섭의 신문연재소설인 『부부』(1962), 『인간교실』(1963), 『이성연구』(1965)를 대상으로 작가가 당대 가부장제의 위선을 폭로하고 허상으로서의 ‘스위트 홈’을 비판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작가가 가장의 권위를 갖지 못한 남편들을 통해 가부장제를 균열시키는 담론을 구성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손창섭은 당대 가부장제를 ‘외도’가 ‘기부’라는 선행으로 위장되고, ‘폭력’을 합법화하는 사회사업의 이중성을 통해 설명한다. 가부장제는 가족(아내)에 대한 폭력을 동반하고 있으나 경제적 주체자인 가장은 개인의 성공과 국가의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합리화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가부장제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부재한 남성들을 중심 화자로 내세워 표리가 다른 가부장들의 위선을 들추기도 한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통념화된 부부 관계와 도리를 따르지 않게 함으로써 가부장제를 균열시킨다. 부부가 성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담론화하기 어려운 남성의 성적 판타지와 가장의 무책임한 측면까지 언급한다. 그럼으로써 기존의 부부 관계를 재구성하는 측면을 보여준다. 또한 손창섭은 아내에게 요구하는 양처의 조건이 주부나 가족의 행복과 연결되기보다는 남편에 종속되는 이데올로기에 불과함을 보여준다. ‘스위트 홈’의 표상으로서 문화주택은 남편의 외도를 수용하면서 가사에 몰두하는 주부의 위치를 반영하는 장소로 나타나는 것이다. 작가는 1960년대 경제 부흥기에 저임금 산업 역군으로서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안락한 가정을 꾸리는 내조자의 역할에서 벗어난 아내들을 무조건 비판적인 시선에서만 그리지 않고, 부부의 상황에 맞는 아내의 역할을 부각시킴으로써 양처상의 다변화를 추구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양처상에서 벗어난 여성들을 나락으로 빠뜨리거나 계도하는 서사를 구성하지 않는 점도 주목된다. 물론, 손창섭이 이러한 비판을 하는 과정에서 대안을 뚜렷하게 제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에 대한 헌신’ 등 가부장제에 권위를 부여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 을 비판하고 사회의 모순과 위선을 들춰냈다는 점은 큰 의미가 있다. 또한 가부장적인 부부 관계를 해체하고 양처의 의미를 다변화하는 면모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1960's, patriarchal order was maintained as women were subordinated to the men by strengthening the concept of ‘a good wife and wise mother’. The study analyzed that Son Changseop exposed the hypocrisy and violence of patriarchal system during his time and criticized the ‘sweet home' as an false image through the novels such as 『Married couple』(1962), 『Human classroom』(1963), and 『Research on oppose sex』(1965)I that were serialized in a newspaper.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the author dealt with discourse that patriarchal system is cracked and broken by husbands who have no authority in his home. Son Changseop describes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at the time as the social work mechanisms that cover ‘injustice’ using good conduct such as ‘donation’ and ‘legalize’ ‘violence’ in league with privileged forces. The patriarchal system accompanies family ( wife ) violence under the mask of moral and a head of household as a main body of economic activity legalizes violence like this in the name of the nation’s development and personal success. The author makes males who have no the ‘hegemonic masculinity’ that gives validity to the patriarchy as a main speaker and a rift has started in the patriarchal system as they reject conjugal relations and duty accepted as social convention. He insists a married couple needs to have equal status in the sexual aspect and does not criticize or edify a woman for leading a loose life or having an affair. Moreover, he shows that existing conjugal relations are broken up and recomposed by mentioning males' sexual fantasy that avoids discussing and irresponsibility as a breadwinner that avoid discussing. Son Changseop shows that requirements for a good wife are just an ideology that a wife is subordinate to her husband rather than happiness related to a housewife or members of a family. A modern house, a symbol of ‘sweet home’, is a place that reflects only a meaningless position of the ‘good wife’ who accepts her husband's affair and buries herself in housework. The author does not unconditionally criticize wives who take off from the role of a supportive wife who has a loving family and contributes to the economic growth as a low-wage industrial player in the period of economic revival in 1960's and he pursues diversification of notions of the good wife by marking the role of a wife for a married couple's situation. Through this study, Son Changseop’s serial novels, which have gone unheeded during that time, are expected to be recounted in Korea's literary history.

1. 들어가며
2.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비판과 가부장제의 균열 담론
3. ‘스위트 홈’이라는 환상과 양처 이데올로기의 거부
4.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