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35.77
18.222.35.77
close menu
KCI 등재
김윤식의 저항세계 연구 -<대구일보>와 『도정월보』 게재 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orld of Resistance by Poet Kim -Focusing on < Daegu Ilbo > and 『Dojeongwolbo』
한경희 ( Han Kyung-hee )
영주어문 44권 201-225(25pages)
DOI 10.30774/yjll.2020.02.44.201
UCI I410-ECN-0102-2021-700-000446312

이 글은 <대구일보>와 『도정월보』에 게재된 김윤식의 글을 통해 그의 저항세계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는 가난으로 굶주리는 농촌에서 무지한 농민들과 직접 어울려 농사짓고 살면서 농촌문제의 근원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그 대표적인 저항의 언어는 황무지 개간과 농촌실태의 용기있는 고발에서 잘 드러난다. 정부정책의 부재나 문제로부터 농촌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체험하고 개인의 힘으로 극복하는 도전을 시도한다. 황무지 개간이라는 도전은 무모하게 읽히지만 그 무모함이야말로 저항정신의 증거이다. <대구일보>에 게재된 글에서는 농부가 되어 황무지를 개간하며 농촌생활을 시작하던 이야기가 중심을 이룬다. 황무지 개간은 허황되고 무모하게 읽힐 수 있으나 그는 가난극복과 무지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립해야 한다는 신념을 직접 행동으로 옮긴다. 개간에 성공했으나 태풍과 화재로 농지를 잃어버리고 다시 원점에 선다. 정책부재의 정부뿐만 아니라 자연재해 앞에서도 굴복하지 않고 참고 견뎌내면서 잃어버린 농토회복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산다. 『도정월보』를 통해 고발한 농촌의 실상은 총체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정부의 근본적인 농촌무시 정책을 기반으로 공무원, 정치인들이 그 뒤를 이었다. 농촌 일선의 공무원들의 보신주의와 관료주의의 행태는 매우 노골적이고 일상화되어 있었다. 부패한 정치인들은 4·19의 열매를 자신들의 권력유지를 위해 악용하였다. 농촌문학인으로서의 사명감을 절실하게 느낀 김윤식은 직설의 언어로 저항의지를 강하게 드러낸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world of resistance through the writings of poet Kim Yun-sik published in < Daegu Ilbo > and 『Dojeongwolbo』. He goes directly to the roots of rural problems by farming and living with the poor and hungry farmers who live in poverty. The representative language of resistance is evident in the clearing of wasteland and the courageous accusation of rural conditions. Experience the rural problems arising from the absence or problems of government policy and try to overcome them with your own strength. In the article published in < Daegu Ilbo >, the story centered on starting a rural life by clearing the wasteland as a real farmer. The clearing of wasteland can be read in vain and recklessly, but the poet takes action to realize that he must be self-reliant in order to overcome poverty and ignorance. Successfully cleared, but lost to typhoons and fires, and is back to the origin. Not only in the absence of government but also in the face of natural disasters, they endure and endure to recover the lost farmland. The reality of the rural problem that was reported through the 『Dojeongwolbo』 had a general problem.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ticians followed, based on the government's fundamental rural neglect policy. The behaviors of bourgeoisie and bureaucracy in the frontiers of rural fronts were very explicit and routine. Corrupt politicians exploited the fruits of April 19 to maintain their power at their convenience. The poet who felt the mission as a rural literary man desperately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resist in a straightforward language by serializing 「Catching Rural」.

1. 들어가는 말
2. 2·28필화와 절필 선언
3. 황무지 개간의 직접행동
4. 농촌실상을 다룬 직설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