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161.132
18.227.161.132
close menu
KCI 등재
그래픽 디자이너의 역할 현황 분석 - 국내 실무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role of graphic designers - Focusing on professional designers in South Korea -
왕가기 ( Jiaqi Wang ) , 김소영 ( Soyoung Kim ) , 이지은 ( Jieum Lee ) , 김희진 ( Heejin Kim ) , 설백교 ( Baijiao Xue ) , 문지혜 ( Jihae Mun ) , 김소연 ( Soyeon Kim )
UCI I410-ECN-0102-2021-600-000440160

연구배경 과거 조형적 작업에 국한되었던 디자인은 오늘날 사회혁신을 위한 전략적 요소이자 비즈니스 경쟁력으로 제시되고 있다. 디자이너의 역할도 다변화되어 전략가, 혁신가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디자이너의 확장된 역할이 실무에서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그래픽 디자이너의 역할 현황 분석을 위해 브랜딩, 광고, UX/UI, VMD의 다양한 세부 분야 실무 디자이너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별로 구분하여 분석 및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실무 디자이너는 전형적 그래픽 디자이너의 역할에 한정되어 있었는데, 이는 조직의 구조적 문제와 타분야의 디자인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다변화 및 디자인 툴의 민주화로 인하여 그래픽 디자이너가 더욱 실현 및 전달 단계의 업무에 치중되고 있었다. 결론 디자인 연구와 실무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디자이너의 역할 차이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공통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Background Design, which was limited to visualizing and styling work in the past, is now presented as a strategic element for social innovation and business. The role of designer has also diversified, emphasizing the role of strategist and innovat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se how the extended role of designers,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design research, are being performed in design practice. Method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graphic designers in various sub-fields of branding, advertising, UX/UI, and VM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status of graphic designers in the field.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by the phases of the design process. Result Designers were confined to the role of traditional graphic designer and we found that it was due to the structural issue of organization and stereotypes about design from different field. In addition,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media and the democratization of design tool the role of graphic designers were more focused on realization and delivery phase. Conclus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designers’emphasized role difference between design research and practice, effort need to be made to draw common discussion.

1. 서 론
2.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
3. 연구 및 분석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