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45.92
3.129.45.92
close menu
KCI 우수
노동시간 단축 선호 결정요인 - 생활방식과 노동시장 지위를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Preferences for Working-Hour Reduction Policy: Do Lifestyle and Labor Market Status Matter?
백대현 ( Dae Hyun Baek ) , 이재완 ( Jae-wan Lee )
DOI 10.33900/KAPS.2020.29.1.5
UCI I410-ECN-0102-2021-300-000993238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52시간제라는 노동시간 단축 정책에 대한 선호에 임금근로자의 생활방식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노동시장에서의 지위가 생활방식과 노동시간 단축 선호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조사한 ‘노동시간 단축’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열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 일과 삶 중에서 삶을 중시하는 생활방식은 노동시간 단축 선호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나타냈다. 반면 생활방식과 노동시장 지위의 상호작용항은 유의미한 음(-)의 효과를 나타냈다. 즉 노동시장에서의 지위가 열악한 비정규직의 경우는 정규직과 달리 노동시간 단축으로 인한 비정규직 양산 등 부정적 폐해를 우려하여 노동시간 단축을 덜 선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동시간 단축으로 인해 비정규직이 양산되어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동시간 단축을 추진하면서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뿐만 아니라 비정규직들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여 노동시간 단축의 효과를 정규직과 비정규직 차별 없이 누리게 할 필요가 있다.

In the light of the recent labor policy reforms trigger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th the aim of reducing the maximum weekly work hours to 52 from 68, this study assesses the degree to which the lifestyle of workers impacts their preferences for the desired reform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whether there exists a moderation effect of labor market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of workers and their preferences for the reform policy. In this study, we use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survey entitled “Working-Hour Reduction” to conduct ordered logit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workers prioritizing their personal life over their work view the reform policy more positively in a significant manner. However, the interaction term of the lifestyle and the labor market statu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This is indicative of temporary workers’ lack of preference for the reform policy (vis-a-vis permanent workers) that comes as a result of their less stable employment statuses in the labor marke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re is a need for policy improvements addressing the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reforms (i.e. intensification of labor market polarization). Therefore, when promoting labor policy reforms, not only policies aimed at lifting burdens on business but also protecting especially temporary workers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the reforms benefit everyon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의 모형과 방법
Ⅳ. 분석의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