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205.146
3.135.205.146
close menu
KCI 등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Job Stress, Job Burnou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김기옥 ( Ki-ok Kim ) , 박성규 ( Seong-kyu Park )
기업경영리뷰 10권 2호 275-297(23pages)
UCI I410-ECN-0102-2021-000-000966170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조직성과와 전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 조직몰입, 조직공정성, 조직지원과 같은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의 스트레스 및 소진의 관리가 스트레스와 소진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사무직 사원과 영업직 사원 모두 해당 직무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을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은 조직성과 및 전직의도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몰입, 조직공정성, 조직지원과 같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에 대한 관리가 앞에서 설명한 조직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키는 효과에 있어서는 사무직 사원들보다 영업직 사원들에게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는 조직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리효율성이 영업직 사원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더욱 효과가 있으며, 근로자의 직무 형태에 따라 인적자원관리 방법에 차별점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job stress and the job burnout on the job performance and the job change intention as well as to find out i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assistance mitig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job stress and the job burnout. Ou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lerical workers as well as the sales people experience the job stress and the job burnout. The job stress and the job burnout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and the job change intention. The mitig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assistance is greater for the sales people compared for the clerical workers. Our finding indicates that the management of the job stress and the job burnout is important for the sales peopl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설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