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239.46
18.216.239.46
close menu
KCI 등재
심리적 자본 요인구조의 성별 측정동일성 및 잠재평균 분석
Measurement Invariance of Psychological Capital Factor Structure Across Gender and Latent Means Analysis
신현숙 ( Hyeonsook Shin )
인문사회 21 11권 2호 1-16(16pages)
DOI 10.22143/HSS21.11.2.1
UCI I410-ECN-0102-2021-000-000932198

심리적 자본은 희망, 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성으로 구성된 다차원 구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1차 요인 4개와 상위구인 1개를 포함하는 심리적 자본 2차 요인구조의 성별 측정동일성을 검증하고, 요인별 잠재평균의 성차를 분석하는 데 있다. 전국 4년제 대학교 남학생 323명과 여학생 305명으로부터 온라인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심리적 자본 2차 요인구조의 성별 형태동일성, 측정단위동일성, 절편동일성이 확보되었다. 잠재평균 분석 결과, 여자 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잠재평균이 남자 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낮고 이러한 성차가 큰 효과크기에 근접하였다. 나머지 1차 요인들에서 잠재평균의 성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효과크기도 작은 편이며, 2차 요인 심리적 자본의 잠재평균에서는 성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만 효과크기는 작았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 자본 2차 요인구조가 남녀 대학생 집단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여자 대학생의 저조한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sychological capital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nsisting of hope, efficacy, resilience, and optimis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second-order factor structure of psychological capital (including four first-order factors and a higher-order construct) across gender and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the latent means. Nationwide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male students and 305 femal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of the second-order factor structure were supported. A latent means analysis showed that the latent mean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s and the gender difference approached the large effect size. But gender differences in the remaining first-order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and their effect sizes were small. Gender difference in the second-order factor psychological capit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was small. The second-order factor structure of psychological capital could be equally applied to both genders but concern should be given about enhancing the weaker resilience in female students.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