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101
18.118.12.101
close menu
KCI 등재
행복증진을 위한 국내 음악치료 문헌연구: 2008년-2019년
A Study on the Domestic Literature of Music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From 2008 to 2019
김정희 ( Junghee Kim )
인문사회 21 11권 2호 121-136(16pages)
DOI 10.22143/HSS21.11.2.9
UCI I410-ECN-0102-2021-000-000932274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을 사용한 행복증진프로그램의 실질적이고 효과적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08년부터 2019년까지 행복증진에 관한 27편의 논문이다. 매년 꾸준한 연구와 2016년 이후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프로그램은 12회기 연구가 가장 많고, 실험연구가 주로 실시되었으며, 질적연구는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평가도구는 다양성을 보여주었고, 음악활동은 악기연주와 노래부르기가 높고, 즉흥연주는 낮게 나타났다. 종속변인의 분석 결과는 행복·우울·심리적 안녕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을 사용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긍정적 정서인 행복을 증진시키며 부정적 정서인 우울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프로그램임을 보여주었다. 이는 30세-60세의 지속적 연구, 사례연구와 질적연구, 내면이 투사되는 즉흥연주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practical and effective development of happiness promotion programs using music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7 papers on the promotion of happiness from 2008 to 2019. Annual steady research and growth since 2016 and the program had the most 12 sessions. experimental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low. Evaluation tools showed diversity, musical activities were high i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and improvisation performance was lo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ependent variables came in the order of happin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appiness promotion program using music is effective in promoting happiness, which is positive emotion, and reducing depression and stress.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case stud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he 30 to 60 years old, and improvisation activities in which the inner side is projected.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