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50.55
52.14.150.55
close menu
KCI 등재
학교 성폭력 2차 피해 사례분석 연구 - 부르디외의 상징폭력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on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at School - Focusing on Symbolic Violence of Bourdieu's Theory
안재희 ( Ahn Jaehee )
여성학연구 30권 1호 7-44(38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916386

본 연구는 학교 내 2차 성폭력 피해에 대한 경험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중·고등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성폭력 2차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2차 피해의 양상과 그 원인 그리고 2차 피해가 피해자에게 주는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과 심충면접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7명으로 성폭력 1, 2차 피해를 경험한 학생 4명과 가·피해 학생들을 상담하거나 사건을 처리했던 교사 3명이다. 분석과정에서 부르디외의 상징폭력 개념을 통해 다른 일반 사회적 장과 다르게 학교가 가진 사회문화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2차 피해는 1차 피해와 동시에 SNS를 통해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1차 피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를 옹호했던 주변인들에게도 2차 피해가 일어났다. 또한 학교 구성원들은 가부장적 사회적 성통념을 보편적 가치로 오인해 피해자들을 ‘보호받을 피해자’와 ‘비난받을 피해자’로 구별했으며 이들을 옹호하거나 학교의 성폭력 문제를 제기하는 학생, 교사들을 ‘문제를 일으키는 자’로 구별짓는 상징폭력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에서 2차 피해를 유발하는 원인은 가부장적인 위계적 서열문화, 성적 및 대학진학이 우선시 되는 문화 등 학교의 사회문화적 특수성과 성폭력 사건을 처리하는 학교의 구조적 특성, 학교 구성원들의 자발적 오인과 공모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구성원들은 오랜 기간 사회화를 통해 가부장적 사회적 성통념을 보편적인 가치로 오인하고 이에 자발적으로 공모하는 행위를 통해 기존 가부장적 성 윤리를 재생산시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2차 피해의 사회적 의미는 피해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1차 피해가 축소되거나 은폐되고 징계에 대한 이중적 감정이 유발됨으로써 1차 성폭력 사건의 역학관계가 변화되었다. 또한 자기검열과 자기비난으로 인한 고립되는 학교생활 그리고 이해관계의 대립 등 일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피해 학생들 중 일부는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성폭력과 피해자에 대한 지배적인 상징질서를 재편하기 위한 실천을 전개하는 임파워먼트를 경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secondary victimization, its causes, and the social implications of secondary damage to victims, focusing on secondary victimization cases of sexual violence occurr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the case study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seven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our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first sexual violence and secondary victimization and three teachers who consulted abusive students and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victimization at school was done quickly through SNS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sexual violence, and secondary victimization was done not only to the primary victims but also to the people who defended the victims. Symbolic violence emerged at school. It also identified the victims as "victims to be protected" and "victims to be criticized." Second, there are many causes of secondary victimization in schools. The first cause is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such as patriarchal community culture, hierarchical ranking culture, and culture in which university entrance is given priority. The other reason i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dealing with sexual violence cases. The last one is that school members misrecognized patriarchal sex ethics and norms as universal values. Third, the social implications of secondary victimization varied for the victim. The dynamics of primary sexual violence cases changed as primary damage was reduced or covered up. The victims felt contradictory feelings about the perpetrator's punishment. Also, the victims' daily lives have changed due to isolated school life, self-censorship, self-criticism and conflicting interests of human relations. But some of the victims were to be empowerment if victims meet people who are with them. They looked at their experiences objectively, began to voice themselves and practiced to reshape the dominant symbolic order such as prejudices about a stereotypical image of victims and sexual violence.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결과분석
5. 결과 및 논의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