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3.30
3.129.23.30
close menu
KCI 등재
인구분류 기준의 재구성을 위한 소고
Remarks for Reconstruction of Population Classification Standard
김우석 ( Kim Woo-seok )
UCI I410-ECN-0102-2021-000-000916438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정책 수립과 효과적인 정책성과를 위해 우리나라의 사회·경제·교육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보편적 인구분류 기준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의 사회·경제·교육환경에 적합한 인구분류 기준(이하 한국형 인구분류 기준)을 재구성하는 것에 있다. 한국형 인구분류 기준은 우리나라 인구를 우리나라의 연령별·생애주기별 특성에 따라 영유아인구, 학령인구, 활동인구, 노인인구로 분류할 수 있다. 분석결과, 영유아인구와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관련 시설의 정원 확보 및 운영을 위한 적정 수준의 재정확보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활동인구의 감소 추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의 활동인구가 감소하고 높은 연령의 활동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생산과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노인인구의 증가 추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의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부양에 따른 부담이 가중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한국형 인구분류 기준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하에서 보편적 인구분류 기준이 제시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사회·경제·교육환경에 따른 인구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본 연구가 인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연구에 있어 이정표가 될 것이며, 정책수립의 체계성과 효율성, 정책성과의 효과성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population classification stand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KPCS(Korean-type population classification standard)) appropriate for the social, economic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 by breaking away from UPCS(universal population classification standard) that are not suitable in Korea for systematic policy establishment and effective policy performance. In KPCS, it can be classified into infant & child, school age, active, and elderly population according to age and life cycle. As a result,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secure a quota and an adequate level of funding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related facilities due to the rapid decrease of the infant & child and school age population. In the decreasing trend of the active population, the lower age populations are decreasing and the higher age populations are increasing, which will negatively affect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long run. In the increasing trend of the elderly population, higher age populations increase more than lower age populations, which will increase the burden of support. The KPCS presented in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provides dem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Korea's social, economic and educational environment under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at UPCS can not provide. This study will be a milestone in the study of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population, and can contribute greatly to the systematicity and efficiency of policy making and the effectiveness of policy perform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한국형 인구분류 기준
Ⅳ. 인구분류 기준에 따른 비교·분석
Ⅳ.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