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71.237
3.12.71.237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족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 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Chinese learner’s Reading Patterns in Korean Modern Poetry: Focusing on the Experience
리위 ( Li Wei )
한국언어문화 71권 103-130(28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908006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학 중인 조선족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에 근거하여 조선족 학습자의 경험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시 교육에서 학습자 경험의 정의를 살펴보았는데, 그중 기억, 감각, 반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조선족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을 ‘개인 성장 경험을 통한 사건 진술’, ‘문학 경험을 통한텍스트 의미 생성’, ‘사회공동체 경험에 의한 인식 전환’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족 학습자의 반응 양상에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읽기 교육의 방향을 세 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개인 경험을 활용함과 동시에 타당성이 결여된 해석을 지양하는 것, 둘째는 문학 경험을 통한 상호텍스트성의 해석은 필요하지만 상응한 정서와 내용이 담겨있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 셋째는 사회공동체 경험은 집단의 본질적 특성에 따라 시적 상황에 대한 유사한 경험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the experiences of Korean-Chinese learners who study in Korea, focusing on their reading patterns of Korean modern poetry.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aspects of learner experience in poetry education and found that memory, sense, and refle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Next, we analyzed Korean-Chinese learners’ style of reading modern Korean poems and classified them into ‘case statements through personal growth experiences,’ ‘creating text meanings through literary experiences,’ and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through social community experiences.’ Finally, we organized the direction of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education into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response patterns of Korean-Chinese learners. The first is to utilize personal 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avoid interpretation that lacks validity; the second is to select a text that contains corresponding emotions and content, although intertext interpretation through literary experience is necessary; and the third is to activate similar experiences in poetic situations according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ommunity.

1. 서론
2. 시 교육에서의 학습자 경험
3. 조선족 학습자의 경험에 기반한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
4. 조선족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방향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