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97.248
3.145.97.248
close menu
KCI 등재
<만복사저포기>와 <하생기우전>에 나타난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과 의미
Constructing patterns and meanings of conventional narratives in Manboksajeopogi and Hasaenggiwoojeon
김현화 ( Kim Hyun-hwa )
반교어문연구 54권 47-71(25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898724

〈만복사저포기〉와 〈하생기우전〉의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은 시간의 변속기능을 통해 드러난다. 동선을 확보한 서사 주체에 따라 초월계에서 현실계로, 현실계에서 초월계로, 시간이 확장되거나 응축된다. 시간 변속은 작품의 환상성에 기여하며 현실계와 초월계의 삶을 연대한다. 또한 여성성의 환기와 치유라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여성성은 세계를 지탱하는 근원적 포용력이자 평화로움이다. 〈만복사저포기〉와 〈하생기우전〉은 ‘여성’, ‘어머니’, ‘모성’ 등으로 비유되어 온 ‘밤’과 ‘달’을 중점으로 여성성을 환기시킨다. 작품 전편에서 환기되는 안온한 여성성은 남성 세계의 질서로 인해 파국난 삶을 치유하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양상은 사후세계의 탐색과 전경화 양상으로 나타난다. 선대의 〈최치원〉이나 〈수삽석남〉에서 생략되었던 사후세계의 형상을 경물화함으로써 사실성을 강화한 문법으로 변주되었다. 정의나 선의, 인간적 도리 등의 가치가 변절되지 않는 세계에 대한 염원이 사후세계에 대한 탐색으로 이어졌고 그 실체로 ‘여귀들의 무덤’을 전경화해 냈다. 〈만복사저포기〉와 〈하생기우전〉의 관습적 서사는 ‘존재의 근원적 탐문’과 ‘상생과 공존의 세계관’ 구현을 위해 구축되었다. 양 작품의 주인공들이 경험한것은 존재 가치와 연대에 대한 각성이다. 이러한 철학적 열망이 당대인의 사유체계로 작동하고 있었고, 그것을 거듭 작품화하는 관습적 문법이 정착되었다.

The dreaminess of the show appearing in Manboksajeopogi and Hasaenggiwoojeon contributes to the fantasy of these works. The desire of a contemporary person to look at the lives of beings beyond the real world appears in a way that solidarity the lives of the living and the dead. Both works also solidarity with life in terms of restoration and gaze of maternal love. The cause of absolute loneliness of male protagonists comes from the sense of loss due to the absence of mother who is the object of love. The desire to find the direction of life by restoring and gazing at the absolute solitude that will offset absolute solitude is a divisive connection between the life of the living and the dead. Furthermore, through the overthrow of wounds and healing spaces, we also carry out the solidarity of life. The overthrow of wounds and healing spaces is prominent in 'Manboksa', 'Naktakyo', and 'Tomb of female ghosts'. The wounds of desire that have collapsed in real space are healed in fantasy space, and Again, the reason that I realized there is to replace the sublime value of the real world space. So the intention to reveal the essence of coexistence appears as the solidarity of life. The solidarity of life in < Manboksajeopogi > and < Hasaenggiwoojeon > follows the ideology of the real world and It is the result of the 'exploration of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which expresses the instinctive desire honestly. It also embodies the inclusion of a worldview to acknowledge 'win-win and extinction'.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works on the principle of covering the living and the dead. It is because the successors of the male protagonist who negotiated with the world of death in < Choi Chihwon > repeatedly appear in < Manboksajeopogi > and < Hasaenggiwoojeon >. The order of extinction also works on the principle of the real world and the fantasy space. The fact that the male protagonists actively sympathize with the reincarnation and resurrection of female ghosts is a result of meeting the order of this extinction.

1. 서론
2.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
3. 관습적 서사의 전승 의미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