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168.28
18.188.168.28
close menu
KCI 등재
1980년대 전위적 노동자 시인의 한 형상, 박노해
The Figure of the 1980s' Avant-garde Labor Poetry, Park No-Hae
허요한 ( Heo Yo-han )
반교어문연구 54권 141-188(48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898759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박노해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반(半)익명성의 실험의 정치성과 그 실패를 통해 ‘박노해 현상’을 역사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 이름이 출현할 수 있었던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고 박노해 현상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고자 한다. 박노해라는 이름의 출현은 박기평 개인으로 환원되지 않는 익명적 사건의 흔적으로 읽을 수 있다. 그것은 광주민중항쟁에서 드러난 코뮌과 연결되어있는 것으로서, 위계적 신분 구도의 철폐와 지식인/노동자 이분법의 철폐라는, 평등의 개념을 사유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급진적 노동운동 세력이 대중성을 확보하기 전에 박노해 현상의 전위는 끝났다. 국가기관의 탄압으로 사노맹 주요 간부가 구속되고 박기평도 사형언도까지 받는 과정에서, 박기평이 박노해의 이름으로 발표한 시들은 사회주의 운동에 대한 충실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충실성이 익명적 사건의 장소가 아닌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발현될 때, 더 이상 주체를 만들 수 없게 되었다. 박노해라는 이름이 갖는 ‘예술의 정치화’를 통해 1980년대의 남한 상황에서 ‘박노해 시’는 전위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전위성은 사회주의국가와 ‘도래할 당’이라는 현실을 기반으로 한 재현의 형식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와 당의 해체는 전위의 실패와도 직결되었다. 퇴조의 정세에서 전위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고민은 그람시에게서도 나타난다. 기동전과 진지전의 조화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를 질문하는 그람시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1980년대 노동시의 한 전형을 보여준 ‘박노해’의 시를 통해 노동자 계급의 재현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는 지점을 탐색함으로써 정치와 예술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유기적 지식인도, 직업적 혁명가의 형상도 아닌, 사랑의 투사로서 나타난 박노해의 시를 탐색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istoricalize the "Park No-hae phenomenon" through the political nature of the "artistic avant-garde" conducted in the name of Park No-hae in the 1980s and its failure. To this end, I would like to look at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name could have emerged, and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ark No-hae phenomenon. The emergence of the name Park No-hae can be read as a trace of an anonymous incident that is not reduced to an individual Park Ki-pyeong. It is linked to the Commune shown in the Gwangju Minjung uprising, an example of the concept of equality, the elimination of hierarchical identity structures and the elimination of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uals and workers. But the avant-garde of the "Parknohae phenomenon" is over before radical labor movement forces can secure public popularity. The suppression of state agencies led to the arrest of a key Sanomang (Alliance of Socialistic Laborers in South Korea) official, and Park Ki-pyeong was also sentenced to death. Poems released in the name of Park No-hae by Park Ki-pyung in the process show loyalty to the socialist movement. But when its faithfulness is invoked to protect its identity, not the place of anonymous events,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reate a subject. Through the "politicization of art" of the name Park No-hae, "Poetry of Park No-hae" had an avant-garde personality in the Korean context of the 1980s. But the failure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party were also directly linked to the failure of the party, as the potential was based on a form of reenactment based on the reality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party to come." In the situation of decline, the agony of overcoming avant-garde's failure also appears in Gramsh. Gramshie's problem consciousness, which asks how the harmony between War of Movement and War of Position will be possible, stillseems to be valid. Especially in art, avant-garde needs to be asked how it can be interpreted. From that point of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alism and avant-garde should be reasoned. The ques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not as 'who writes' but 'who is that person writing?' Who was 'Park No-hae' who showed a model of labor poetry in the 1980s? And who is Park No-hae now?

1. 서론
2. 박노해 현상의 사회적 맥락
3. 노동시의 전위와 반(半)익명성의 실험
4. 지키는 자의 용기 - 자리를 지키기 위해 버려야 했던 것에 대하여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