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72.78
3.139.72.78
close menu
KCI 등재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의 텍스트에 대한 연구 : - 주제, 분야, 하위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ading Texts for Undergraduate Students : - Focus on topics, fields, and subfields -
박현수 ( Park Hyun-soo )
반교어문연구 54권 223-251(29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898779

이 글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4종 6권의 읽기 교재 텍스트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의미와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들 교재는 다양한 읽기 텍스트를 제시함으로써 대학 수학 과정에서 그와 유사한 텍스트를 접했을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M. Met와 Stoller & Grabe는 ‘주제 중심 교수모형’에 대해, 주제를 준거로 교과 내용을 가르치지만 언어 학습 역시 고려하는 교수모형이라는 점, ‘주제’에 의해 화제, 텍스트, 연결고리, 과제, 이행 등 나머지 다섯 가지의 구성요소가 결정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교재들에서 각 단원의 텍스트가 다루고 있는 주제는 다양하며 단원에서 주제가 중복되는 경우도 피하고 있다. 그런데 주제가 속한 분야를 파악해 보면 텍스트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교재에서 주제가, 수업의 목표와 내용을 좌우할 뿐 아니라 화제, 텍스트, 연결고리, 과제, 이행 등을 결정하는 ‘주제 중심 교수모형’을 통해 구성되었음을 환기하면, 분야의 균형이 지니는 문제는 더욱 두드러진다. 텍스트 배치에서 분야의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는 점과 함께 제기될 수 있는 문제는 하위 분야에 관한 것이다. ‘주제 중심교수모형’은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과 그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 항목을 동시에 다루는 방식이기도 하다. 하위 분야가 균형을 이루지 못 했다는 것은 빠진 분야의 주제에 대해 접근하지 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주제와 관련된 언어 교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article, I reviewed texts of reading textbook for undergraduates. These texts provide a variety of reading texts that can be used when students encounter similar texts in college study. M. Met and Stoller & Grabe said that “topic-based teaching model” is a teaching model that teaches subjects based on themes but also considers language learning. And said the topic revealed that the remaining five components were determined by subject of conversation, text, link, assignment, and implementation. In the texts, the topic of each unit cover a variety of topics and avoid repeating the topics in the unit. However, it was hard to see that the text was in balance with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The problem of balance in the field is more prominent when we recall that the theme is composed of a “topic-based teaching model” that determines not only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lesson but also subject of conversation, text, links, tasks, and implementation. Along with the lack of balance in the field of text placement, the problem that may be raised is with the subfields. The “topic-based teaching model” model is a way of dealing with the contents and the language items that make up the contents. The lack of balance in the subfields means not only the lack of access to the subject of the missing field, but also the lack of language teaching on the subject.

1. 문제의 소재
2. 이론적 배경
3. 분석 대상 교재와 그 개괄
4. 텍스트의 주제, 분야, 하위 분야
5. 분야, 하위 분야의 균형에서 나타난 문제점
6.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