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41.214
18.221.41.214
close menu
KCI 등재
일본 대도시의 임차가구를 고려한 소규모 인테리어전문 DIY 쇼룸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Interior-specialized DIY Showrooms for Rental Households in Major Cities of Japan
정미렴 ( Chung Miryum )
UCI I410-ECN-0102-2021-600-000899018

(연구배경 및 목적) 일본에서는 건물의 노후화로 인한 임차인의 주거 불만족과 공실 발생, 관리되지 않은 주택의 자산가치 하락, 빈집 증가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do-it-yourself(DIY) 인테리어 레노베이션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대도시의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서민들을 고려한 소규모 인테리어 전문 DIY 쇼룸의 현황을 분석하고 실내디자인 프로세스의 단계별 지원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로 구성되었다. 문헌연구는 일본의 통계자료와 보고서, 국내외 선행연구, 현장조사 연구는 일본 대도시 중 도쿄, 오사카에 위치한 소규모 인테리어전문 DIY 쇼룸 7곳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18년 2월 2일~ 2019년 3월 2일이었고, 조사 내용은 쇼룸 특징, 운영 주체, 쇼룸 스타일 특징, 실내 내장재의 종류, DIY 워크샵 프로그램, 스타일링 사례공간, 기타(매장특화)였다. 이를 토대로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별 지원특징을 살펴 보았다. (결과) 첫째, 일본의 DIY 쇼룸의 운영 특징은 오프라인 샵과 온라인쇼핑몰, SNS간의 긴밀한 연계, 기업간의 파트너쉽과 공동 이벤트 등이다. 둘째, 도쿄와 오사카의 소규모 인테리어 전문 DIY 쇼룸은 인테리어 내장재와 하드웨어, 조명 등을 소비자가 결과를 예측하기 용이하도록 전시하고 있으며, 특히 임대주택을 위하여 부착 후 원상복구가 가능한 제품들이 다수 소개되었다. 시공 방법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품과 그림이 추가된 설명서가 부착되어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쇼룸에 공방 또는 세미나 공간이 있어 지역 주민을 끌어들이고 활력을 가져왔으며 DIY 워크샵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넷째,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스타일링 사례 공간이 제공되어 고객이 쉽게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고객의 재방문 유도와 차별화를 위해 어린이 공간, 가든, 음악실, 카페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여섯째,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별 지원특징을 살펴본 결과, 쇼룸마다 각기 다른 지원영역을 특화하여 개성적으로 운영하였으며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였다. DIY 입문자를 위한 기획부분에 가장 중점을 두었고 선순환을 통해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정착하도록 시도하였다. (결론) DIY 인테리어 리노베이션은 일본정부와 사회단체 등에서 중요성을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발전할 예정이며, 일본 대도시의 소규모 인테리어 전문 DIY쇼룸은 임차인의 다양한 수요를 인식하고 지원하며 하드웨어(자재판매)와 소프트웨어(워크샵)를 연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년 전부터 인테리어 자재를 취급하는 쇼룸이 증가하고 있으며 DIY 관련 온라인샵이 성장하여 앞으로도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 인테리어 전문 DIY 쇼룸의 발전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여, 임차가구의 주거환경 개선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Japan, do-it-yourself (DIY) interior renova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way to solve problems such as tenants’ dissatisfaction with aging buildings, the vacancy rate, asset-value depreciation due to poor management, and increases in the number of vacant ho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mall-scale interior-specialized DIY showrooms for people living in rental houses in major cities of Japan, and to identify the supporting features by the interior design process phase. (Method) The method consisted of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statistics, reports and research papers.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by visiting seven interior-specialized DIY showrooms in Tokyo and Osaka using structured checklists.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 2018, to March 2, 2019. The checklist is consisted of showroom features, operating companies, showroom style features, types of interior materials, DIY workshop programs, example space for styling, and store specialization. Based on this, the support features by each design process was examined. (Results) Firs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DIY showrooms included close links between offline shops, online shopping malls and SNS, as well as partnerships between companies, and joint events. Second, DIY showrooms displayed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such as floor and wall materials, as well as window attachments, hardware, and lighting, allowing consumers to predict results easily. Many easily removable products for rental housing have been introduced. Instructions with drawings are attached to facilitate construction. Third, most showrooms have workshops or seminar spaces that attract local people and, thus, add community spirit. Workshops were actively run. Fourth, example spaces for styling were provided online and offline, to motivate customers’ design ideas. Fifth, children’s spaces, a garden, a music room, and a cafe were used to differentiate one store from another. Six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upport features of each design process phase, each showroom was specialized in different support areas and they worked as complementary. The focus was on ‘planning phase’ for DIY beginners and they attempted to make DIY into a lifestyle by virtuous circle. (Conclusions) DIY interior renovation will continue to develop as the Japanese government and social organizations recognize its importance, run programs, and modify the related regulations. Small interior-specialized DIY showrooms in large Japanese cities address the needs of tenants and support them by linking hardware(material sales) and software(workshops). In Korea, the number of showrooms dealing with interior materials has been increasing for years, and DIY-related online shops have been growing and are expected to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erior-specialized DIY showrooms so that tenants’ housing environment could be improved.

1. 서론
2. 일본과 한국의 임대주택과 관련된 DIY 인테리어 쇼룸 현황과 관련선행연구
3. 사례조사 분석틀
4. 사례 분석
5. 결론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