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4.109
3.21.104.109
close menu
KCI 등재
공간 업사이클링을 통한 레트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카페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tro Design through Space Upcycling - Focusing on the Commercial Space of Cafe -
정다인 ( Jung Dain ) , 박보람 ( Park Boram )
UCI I410-ECN-0102-2021-600-000899023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도시공간에 있어 ‘재생’이 가장 큰 이슈가 된 지금, 기능이 다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새롭게 재해석하여 가치를 더하는 방법인 ‘업사이클링’공간이 ‘레트로’라는 트렌드와 맞물려 효과적으로 표현되는 특성을 연구한다. 기존 건축물 순환주기의 철거에서 재생으로 관점이 변화하게 된 것은 환경문제와 더불어 가치소비적인 특성의 소비자의 등장에 있으며 소비자들의 취향이 다변화됨에 따라 레트로 디자인이 공간 안에서 연출되는 트렌드가 가속화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현상이 가장 잘 드러나는 곳이 상업공간, 그 중에서도 소비자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카페공간이라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공간들이 나타나는 배경을 살펴보고 수도권 내 대표적 사례들을 통해 어떠한 요인이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업사이클링 공간과 레트로디자인의 정의에 대해 기존 연구를 통해 확립하며 두 개념이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한다. 이후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새롭게 정의내린 분석모델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자가 문헌조사와 답사를 통해 공간의 역사와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후 사례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공간별로 각 요소의 수치를 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업사이클링 요소의 심미적 특성과 레트로 디자인의 문화적 감수성이, 업사이클링 요소의 문화적 특성과 레트로 디자인의 지역 문화가 각각 연관성이 높은 요소로 분석 되었다. 위와 같은 연관성은 레트로 디자인이 업사이클링 공간 안에서 표현될 때, 소비자들은 공간의 과거를 오감을 통하여 체험하고 이해하는 스토리텔링의 과정 속에서 만족감을 느끼며 또한 업사이클링 공간은 지역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결론) 레트로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감성 재경험의 기회를 주는 것이기 때문에 업사이클링의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과거의 공간들을 효과적으로 발견하고 재구현하여 스토리텔링이 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정을 수행하였을 때 소비자들은 그 공간에 진정성을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Space upcycling is a method of adding value by efficiently utilizing and reinterpreting the out-of-function spa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space upcycling effectively shows nowadays in conjunction with the retro trends, where regeneration has become the primary issue in the urban space. The shift in the perspective from the demolition phase of the existing building cycle to regeneration is due to the emergence of consumers with value-consumpti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environmental issues, and as the consumer’s taste varies, the trend of retro-design is accelerating in space likewise. The best place to see this phenomenon are commercial spaces (especially caf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consumers. This paper examines the emergence of these spaces and studies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through research about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Method) First, the definitions of upcycling space and retro-design are established using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 justification of this study is presented by ensuring that the two concepts are correlated. The case study is then conducted with a newly defined analysis model, focusing on the keywords space upcycling and retro-design derived from existing research. Both keywords were analyzed separately during various case studie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history and composition of space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then conducted a case study. Finally, the outcome was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gures of elements in each space case together in various ways. (Result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upcycling element and the cultural sensitivity of the retro-desig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upcycling element, and the local culture of the retro-design were analyzed as factors showing close association,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when the retro-design is expressed within an upcycling space, consumers are pleased with the storytelling process of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the past of such space using the five senses, and in addition, the upcycling space should be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Conclusions) Retro-design allows consumers to experience emotional re-examination, so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discover, redeploy, and experience new historical spaces that they have never encountered in the upcycling process. However, the lack of practical related factors at a time when environmental problems emerge is an important issue that the upcycling space must overcom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 was perform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consumers finally could give the space sincerity.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업사이클링 공간과 레트로 디자인
4. 사례분석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