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34.62
18.191.234.62
close menu
KCI 등재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의 동인천역 주변 도시재생 기본계획 및 디자인 제안
The Urban Regeneration Master Plan and Design around Dongincheon Station Area based on Urban Resilience
김하늘 ( Kim Haneul ) , 곽동화 ( Kwack Dongwha )
UCI I410-ECN-0102-2021-600-00089903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의 도시재생은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균형적인 도시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여러 측면의 위협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 회복할 수 있는 도시 리질리언스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리질리언스의 관점에서 쇠퇴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계획 및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계획 및 디자인 제안을 하는 대상지의 물리적·사회적·경제적 현황을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판단되는 위협으로 분류 및 분석하는 것이다. 다양한 위협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단계적인 계획 및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연구방법) 여러 지방도시들은 정부 주도의 의사결정(Top-down)이 아닌, 시민 주도의 아이디어 제안(Bottom-up)을 통해서 다양한 아이디어와 사회적·문화적 소통의 장을 만들고자 하였다. 도시 리질리언스의 여러 분야의 연구 관점에서 대상지에 대한 계획 및 디자인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계획 및 디자인은 도시 리질리언스의 핵심개념을 적용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초기·중기·장기 계획 및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내의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유형을 기준으로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계획 및 디자인은 도시재생뉴딜사업에서 일반근린형에 맞춰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경제와 거버넌스를 통한 도시 리질리언스를 기본적인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대상지의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계획 및 디자인의 준비 단계로 도시재생 아카데미 및 도시재생회사 설립을 우선적으로 제안하였다. 다음 초기 계획으로 지역 커뮤니티 센터 설립, 지역 내 거주환경 개선, 중·소규모 유휴공간 활용을 계획 및 디자인하였다. 다음 중기 계획으로 대규모 유휴공간 활용, 전통 혼수거리 선형상가 리모델링 및 관리, 도로체계 개선, 청년상입 유입을 계획 및 제안하였다. 다음 장기 계획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계획 및 디자인은 초기 설정한 도시 리질리언스의 방향성인 지역경제 및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전체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위한 계획은 도시 리질리언스의 핵심개념과 같이, 장기적인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개별 계획 및 디자인은 지역경제와 거버넌스의 도시 리질리언스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제안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urban regeneration in Korea has been promoting balanced urban development with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addition, a recent research has found that the urban resilience, a recoverable city, is being studied in a variety of research areas against multiple aspects of threa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and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declining a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rban resilience. It classifies and analyzes th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 target site for plan and design proposals as threats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silience. To overcome a variety of threats, this research has the significance of proposing step-by-step plan and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rban resilience. (Method) Many local cities wanted to create diverse ideas and socialㆍcultural communication fields through bottom-up idea proposals, not top-downs. The direction of plan and design wa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in various areas of the city. The plan and design applied the main concept of urban resilience, and proposed the early, mid and late plan and desig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addition, the basic direction was set based on the type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Korea. (Results) In this research, the proposed plan and design were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neighborhood master plan in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addition, the urban resilience through local economy and governance was set in a basic direction.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of the target site, this research firs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cademy and Urban Regeneration Company as a preparatory step for plan and design. The following initial plan and design were designed to establish local community centers,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site, and utilize small and medium-sized idle spaces. The following mid plan and design were designed to utilize large-scale idle space, remodel and manage main commercial street linear shops, improve the road system, and introduce youth commerce. The next long-term plan were designed to a street housing readjustment project. (Conclusions) The plan and design of this research were developed around the local economy and governance, the orientation of the initial set-up urban resilience. The plan for the entir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as propos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such as the main concept of the urban resilience. In addition, each plans and designs were proposed to have orientation in the local economy and in the governance urban resilience.

1. 계획 및 디자인 배경
2. 도시 리질리언스와 도시재생
3. 대상지 현황 조사 및 분석
4. 단계별 계획 및 디자인 제안
5. 종합 계획 및 결론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