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32.213
18.118.32.213
close menu
KCI 등재
공기막 구조(空氣膜 構造)의 전시적 활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hibitional Utilization of Pneumatic Structure
방효선 ( Bang Hyosun ) , 최익서 ( Cho Ikseo )
UCI I410-ECN-0102-2021-600-00089904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전시는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며, 방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과정으로 관람자는 많은 체험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전시체험 측면에서 최근 전시에 적용되는 공기막 구조물은 다양한 형태의 심미성 및 인지성을 관람자에게 전달한다. 공기막 구조물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전시공간에 적용되고 있으며, 창의적인 형태와 전시공간을 창출하여 공간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공기막 구조물이 비상설 전시 및 전시 후 상설 전시공간으로 유연하게 적용되는 구조 특성에 대한 중요한 연구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기막 구조에 대한 디자인과 전시 관점에서 특성을 요소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종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공기막 구조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특성과 관련된 항목과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분류되고 도출된 4항목 12가지 요소에 대하여 선정된 사례에 대하여 정성적인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분석 과정에 있어서는 정량적 방법에서 빈도 및 평균을 산출하여 4항목 12가지 특성을 사례 및 요소별로 특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비상설 전시공간에서 공기막 구조는 구조적 측면에서 경제성과 시공성이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고 형태적 측면에서는 다양성과 정체성이 가장 큰 특성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능성에 있어서는 거주성 및 참여성이 높으며, 공간 특수성에 있어서는 조형성과 다양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비상설 전시공간에서 다양하고 유익한 특성을 갖는다는 결과를 얻었고, 공간 구성 구조 역할과 관람자와 주변 환경에 연계성 있는 전시적 역할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는 사실을 규명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기막 구조의 특성을 종합하면 첫째, 주변 경관과 어울려 다양하게 단기 시간의 시공이 가능하여 비상설 전시에 적용이 적합하다. 둘째, 유동적인 전시에 따라 공간 연출에 대한 확장성이 높아 다양한 연출과 관람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분석을 통한 공기막 구조의 구조적, 형태적, 기능적, 공간 특수성에 대한 특성을 전시디자인에 적용한다면 관람자와 주변 환경에 연계성 있는 전시적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매우 다양한 전시디자인 효과 및 전달을 극대화 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exhibition is a means of delivering information, and it is a process of receiving and recognizing vast information, and viewers experience many experiences. In this way, in terms of exhibition experience, the pneumatic structure applied to the recent exhibition delivers various forms of aesthetics and cognition to the viewer. The pneumatic structure is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with various designs, and it can maximize the space function by creating creative forms and the exhibition space, and has an important research meaning on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that the pneumatic structure is flexibly applied to the permanent exhibition space after the exhibition and the exhibi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air film structure by element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and exhibition. (Method) As a former metho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pneumatic structure were analyzed in detail, and items and element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nd set as analysis criteria.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cases of 12 classified and derived 4 items, and in the analysis process, the frequency and average were calculated in the quantitative method and 12 characteristics of 4 items were presented by case and element. (Results) In the non-existent exhibition space, the pneumatic structure relief showed the best characteristics of economic efficiency and constructability in terms of structure, and diversity and identity which were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hap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residence and participation in functionality were high, and the formativeness and diversity were the highest in spatial specific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structure and the exhibition ro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viewe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delivered. (Conclusions) First, it is suitable to be applied to emergency snow exhibition because it can be constructed for a variety of short-term time in harmony with surrounding scenery. Second, the expansion of space production is high according to the fluid exhibition, so various directing and various experiences can be provided to the audience. Third, if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morphological, functi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neumatic structure are applied to the exhibition design through analysis, it can play an exhibition role that is connected to the audienc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aximizes the effects and delivery of various exhibition designs.

1. 서론
2. 비상설 전시공간과 공기막 구조의 이론적 고찰
3. 공기막 구조 사례 분석 연구모형
4. 공기막 구조 사례 분석
5. 결론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