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31.159
18.225.31.159
close menu
KCI 등재
프리츠커 수상작품 선행연구들에 나타나는 공간인식 경향에 관한 연구
An study of Space recognition Trends on the Preceding Studies of Pritzker Price Winners’ Works
진제스민 ( Jin Jasmine ) , 이종세 ( Yi Jongse ) , 김주연 ( Kim Jooyun )
UCI I410-ECN-0102-2021-600-000899063

(연구배경 및 목적) 건축가가 공간을 구축하고 표현형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공간인식은 중요한 인자로 적용되어진다. 그러나 건축적 행위와 그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연구자에 의한 공간인식으로 다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1979년부터 시작된 프리츠커 상은 현대 건축의 통시적인 흐름을 보여줄 수 있는 동시에 건축가의 건축적 사고와 관련된 건축세계를 평가하는 상이기 때문에 이는 공간인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리츠커 수상자 작품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통시적 공간인식의 흐름의 경향을 도출하여 후속연구의 사례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첫째, 공간인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기준이 될 공간인식의 분석틀을 마련한다. 둘째, 프리츠커상 수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조사 범위는 1979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과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색 키워드는 수상자 이름이 주제목과 소제목에서 언급되는 범위로 제한하였다. 셋째, 수집된 연구논문은 총 620편이였으며, 공간인식의 분석틀을 적용하여 분류한 뒤에 집계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외재적·내재적 공간인식의 경향은 2010년 이전까지는 큰 격차를 보이다가 이후에는 비등하게 유지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10년 단위별 통시적인 공간인식의 경향은 외재적 공간인식의 감소와 내재적 공간인식에 관한 연구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 외재적 공간인식의 연구 경향이 분명하거나 강하게 나오는 건축가들은 모두 2000년 이전의 수상자들이였고, 내재적 연구 경향이 분명하게 나오는 건축가들은 2012년 이후, 강하게 나오는 건축가들은 2004년 이후였다. (결론)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내재적 공간인식 경향의 결과를 통해 현시대에 건축이 가지는 사유적 의미와 주변 환경과의 관계성의 중요성과 관심을 객관적 분석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후속 연구와의 연계성과 필요성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결과 분석에서 선별된 현대건축의 연도별 시기와 수상자를 중심으로 하여 후속 연구의 사례 대상을 선정할 수 있는 근거를 획득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Spatial recogni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architects to construct spaces and to determine the form of expression. However, preceding studies on architectural acts and their works could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spatial recognition by researchers. Because the Pritzker Prize, which began in 1979, shows the trend of modern architecture and evaluates the architectural world related to architect's architectural thinking, this is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spatial recogn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rend of temporal spatial recognition by analyzing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works of Fritzker winners and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the case selection of the follow-up study. (Method)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recognition, an analysis framework of spatial recognition is prepared. Second, the scope of the preceding studies on Fritzker Prize winners was based on the domestic thesis and academic paper listed in Korean Research Foundation from 1979 to 2019, and searching keyword were limited to those mentioned in the subject and subtitle under the winner's name. Third, 620 studi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classifying by apply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spatial recognition. (Results) The trend of extrinsic and intrinsic spatial recognition in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Fritzker Prize winners showed a big gap before 2010, and then remained analogous afterwards. In addition, the diachronic trend of integrated spatial recognition by 10-year unit is characterized by the decrease of the extrinsic spatial recognition(EAS) and the increase of the intrinsic spatial recognition(IAS). Finally, the architects who showed clear or strong trends in the extrinsic spatial recognition(EAS) were winners before 2000, but architects with clear trends in the intrinsic spatial recognition(IAS) have been since 2012, and architects with strong trends in the intrinsic spatial recognition have been since 2004.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 intrinsic spatial recognition tendency found in the Fritzker Prize winner's preceding studies, it was able to objectively verify that the importance and interest of the thinking significance of architec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increasing. In addition, given the increasing interest in urban and environmental issues of the present age, it is expected that the phenomenon of increased intrinsic spatial recognition(IAS) will continu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rive linkage and necessity with the follow-up studies, and to obtain the justification for selecting case targets of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time of year and winners of the selected modern architecture in the analysis of results.

1. 서론
2. 공간인식의 이론적 고찰
3. 선행연구의 분류체계
4. 연구의 분석 및 결과
5.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