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26.35.111
100.26.35.111
close menu
KCI 등재
무장애 공간 인증 관련 초등학교 설계안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in relation to the Barrier Free
성이용 ( Sung Leeyong )
UCI I410-ECN-0102-2021-600-000899078

(연구배경 및 목적) 교육시설 중 가장 무장애(BF)인증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가 되는 곳이 초등학교이며 초등학교는 연령이 어린 학생들이 학교에서의 활동에 있어 장애 공간이 아닌 무장애 공간의 사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기 시작하였다. 인증제도 평가지표가 건축물이라는 항목아래 용도 및 시설별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모든 건축물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에 관련 같은 평가 기준 및 배점으로 인하여 인증 기준과 각 용도별 시설 내 편의시설 설치기준 사이에 차이가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장애 공간을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설계 계획 안의 내부시설 설치현황을 조사 하여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며 향후 무장애 계획에 있어 설계 계획시 다양한 참고 자료로서의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초등학교 무장애 공간의 개념 및 유형을 분석하고 연구 추세 및 시설의 분석을 살펴본다. 둘째, 국내 초등학교 대상으로 힉교들의 건축개요, 설계 컨셉, 도면 등의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기본으로 초등학교 의 무장애 공간이 가지는 유형을 분석한다. 셋째, 분석한 유형을 국내 초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무장애 공간 상관 관계 및 유형을 밝힌다. 넷째, 분석한 10개의 초등학교 계획안을 분석하여 무장애 공간 종합분석을 도출하여 현상 설계에 있어서 현재 무장애 공간의 내부시설 설치 현황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사례를 선정하기 위한 공간적 범위로는 우리나라 중 경기도에 있는 신축 초등학교의 현상 설계안을 중점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로는 2016년부터 2018년 상반기 경기도 교육청 발주한 초등학교 사례 10개를 수집하였다. 또한 무장애 공간(barrier free)인증기준에 의거 반영한 공간으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진입 공간 설치 제안은 편의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등의 계획적인 면에서의 고려도 필요하다. 수평이동 공간 설치 제안은 바닥의 마감은 이질, 이색의 조치를 하여 적극적인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한다. 수직이동 공간 설치 제안은 수직동선을 분산하는 것이 무장애 공간에 대한 고려 일 수 있다. (결론) 교사동에 한정하여 내부시설 공간을 중심으로 진입공간, 수평 이동 공간, 수직 이동 공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무장애 공간의 진입공간 제안은 전체적으로 일반적인 출입구는 잘 계획 되어 있지만 필요한 손잡이 등의 편의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계획적인 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무장애 공간의 수평 이동 공간 제안인 복도는 모두 잘 되어 있으나 디테일 요소나 바닥의 마감에 대한 구분으로 인한 적극적인 안전장치를 설치 하여 한다. 셋째, 무장애 공간의 수직 이동 공간 제안은 계단의 경우 잘 계획되어 있으나 경사로의 경우 거의 계획 되어지지 않아서 층간이동을 위한 다양한 경사로의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승강기의 경우는 교사동의 공간이 나누어지는 경우 한 곳의 공간에 설치가 아닌 두 곳 이상 나누어지는 공간에 대한 승강기의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Certification criteria and the installation criteria of convenience facilities in each fac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variety of reference materials for design planning in the future based on a barrier-free spac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allation of internal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design plan. (Method) First, the concept and types of barrier-free spaces in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surveys, and the research trends and analyses of facilities are examined. Second, data such as architectural outlines, design concepts, and various drawings of each building for national elementary schools are collected, and the types of barrier-free spaces in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hird, the types of and the correlation among barrier-free spaces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are revealed. Fourth,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plan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barrier-free spaces is deriv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terior facilities installation in the barrier-free space of current design. (Results) The proposal of the installation space will have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planning (e.g., an additional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proposal to install the horizontal moving space should be complemented with an active safety device by implementing the measures of heterogeneity and dissimilarity on the floor finish. Conversely, dispersal of the vertical movement lines could be considered for the proposal to install vertical movement space in the barrier-free space. (Conclusion) By analyzing the study of the entry space, horizontal movement space, and vertical movement space, and focusing on the interior facility spa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even though the general entrance is well-planned as the entry of the barrier-free space, it needs to be considered in a plan that additionally installs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those with necessary handles. Second, although the corridors suggested as the horizontal movement spaces for barrier-free spaces are well-equipped, active safety devices should be installed due to the detail elements or floor division. Third, although the proposal for a barrier-free vertical movement space is well-planned for the stairs, it is rarely planned for the ramps; therefore, having a plan to add various ramps to move between the floors seems to be necessary. Lastly, in the case of the elevator, it was concluded that there should be an arrange of the elevator in a space where i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rather than installed in one space if the space is divided where the teachers are using.

1. 서론
2. 문헌고찰
3. 무장애 공간 분석
4. 조사대상 및 분석
5. 결론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