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51.72
3.144.251.72
close menu
KCI 등재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분석 경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Spatial Analysis through Space syntax
이범동 ( Lee Boumdong ) , 이종세 ( Yi Jongse ) , 김주연 ( Kim Yi Jongse )
UCI I410-ECN-0102-2021-600-000899083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는 공간을 해석하는 범위와 방법의 확장성을 가져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각도의 연구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념에 의한 형태론, 행태에 의한 현상론 등 정성적 해석에 의한 기존의 공간분석은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물리적 형태에 대한 사회학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공간구문론은 많은 연구들에 유의미하게 활용되어지고 있지만 단위공간의 관계성 외 공간의 의미와 현상에 대한 포괄적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다양한 방법론적 데이터들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활용 현황과 향후 개선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 선행연구의 영역, 분야, 시간적 특성 등 연구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후 새로운 분석 체계로 재검증하여 그에 대한 원인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통제변수, 매개변수, 독립변수, 종속변수로 분류하고 변수 영역별 공간분석 키워드(위계성 정립)를 도출하여 기호화한 변수영역별 기호체계(SSV: System of Symbol Variable)를 마련한다. 이를 이용하여 선행연구의 영역별 특성과 경향을 통시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로 분석하였다. 키워드로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여 RISS, 국회도서관을 통해 검색된 371개의 학위 논문 중 제목, 목차, 요약의 내용에 키워드가 직접 언급된 68개의 국내 박사학위 논문을 연구의 대상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전체 대상의 발표 시기를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결과)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구는 공간의 시대적 변화와 특정 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전기와 후기로 분류한 결과 연구의 경향 및 특성에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SSV로 분석한 결과 전기에는 공간구문론만을 활용하여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경향과 특정 대상의 공간을 분석하는 연구경향이 균등한 비율로 나타난 반면 후기에는 타 이론과 병합되어 특정 대상의 공간만을 분석하는 경향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기의 연구는 공간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후기의 연구는 공간과 인식, 행태, 현상 등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었다. 이는 일반적 경향 분석에 대한 원인적 근거이며 공간 구문론의 한계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결론) 공간구문론의 등장으로 공간분석방법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나 현대에는 가시영역이론, VAE, ERAM, 등 다양한 이론들과의 병합으로 공간 구문론의 단점을 보완한 공간분석의 방법론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복합공간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전된 연구모형의 변화와 요인의 다양성, 변수간의 종속성에 의한 다중적 회귀 분석으로 좀 더 신뢰도의 발전을 가져와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변수영역별 기호체계를 통한 분석으로 선행연구의 경향을 객관적 수치로 검증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the spatial recognition have led to the scalability of the scope and method of interpreting space. Existing spatial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morphology by concept and phenomenology by behavior, provides the first step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ological relations to physical forms with the emergence of space syntax. Space syntax theory has been significantly used in many studies, bu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phenomenon of space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analysis of methodological data of space syntax theory. (Method) After analyzing the general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and its re-validation using a new analysis system, the causes and reasons for it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content, the space analysis keyword was derived to prepare the system of symbol (SSV: System of Symbol Variable). Previous research has analyzed the diachronic trend in quantitative terms by using SSV. When space syntax theory was used as a keyword, a total of 68 domestic doctoral dissertations among 371 theses searched via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set as the target scope of the study. (Results) The study using space syntax theory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of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pac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m into those belonging to the former and latter perio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As to the SSV analysis results, in the former perio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and the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were found in equal proportions using only space syntax theory. However, in the latter period, the tendency to analyze only the space of a specific object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ories was predominant. In addition, former studies focused only on the space itself, while the studies from the later period mainly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ce and perception, behavior, and phenomena. (Conclusions) After the appearance of space syntax theory, the methodological domain of space analysis in modern times has been expanded to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space syntax theory by merging it with various theories such as visual domain theory, VAE, and ERAM. To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complex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should be improv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hanges in the research model, diversity of factors, and interdependency among the variabl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tendency of previous research was verified by objective figures through analysis using the preference system for each group of variables.

1. 서론
2. 공간구문론의 해석
3. 선행연구의 일반적 경향분석 및 한계
4. 선행연구의 변수별 기호체계분석 및 결과
5. 결론
References
Endnot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