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36.30
3.12.36.30
close menu
KCI 등재
귀환 재외한인청소년의 유형별 이주특성과 정체성 형성 분석: 중국 조선족과 고려인 출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gration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Return Migrants in Overseas Korean Youth by Type: Focusing on the Korean Chinese and Koryosaram
박신규 ( Shin-kyu Park )
UCI I410-ECN-0102-2021-300-000899584

본 연구는 귀환이주의 시각에서 중국 조선족과 고려인 출신의 재외한인청소년을 대상으로 유형별 이주 특성과 정체성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주민지원센터 및 대학의 국제교류처 등을 통해 7명의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구술생애 사적인 기법과 함께 귀환 재외한인청소년들이 이주 이전과 이주 이후 경험하는 삶에 대한 인식과 정체성은 어떠한 상황과 맥락에 따라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선족과 고려인 출신 재외한인청소년들의 삶은 한국의 재외동포정책 변화 과정과 연관되었고 개인적 선택을 통해 귀환이주자로서의 삶을 시작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경험의 차이와 공통적으로 이들에게는 이주민이라는 그들만의 리그와 구별짓기를 통해 사회적응을 실현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정체성에 있어서는 조선족과 고려인이라는 종족정체성에 연연하기보다는 ‘개인’이라는 ‘나’의 정체성을 중시하는 유목하는 노마드의 정체성으로 자신들의 삶을 개척하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성향이 두드려졌다. 재외동포청소년 정책에서 귀환 재외한인청소년의 위치와 의미를 이중문화 전달자, 한민족과 외국인의 혼종적 정체성 지닌 자, 미래 글로벌 인적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이들의 위치와 정체성의 특징을 고려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igration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formation process by type for Korean Chinese& Koryosaram adolescents who are overseas from the perspective of return migration.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ven research subjects through the Center for Migrants and International Affairs at the university. In-depth interviews explored the life experiences of pre-migration and post-migration for Korean Chinese& Koryosaram adolescents who are overseas with oral history techniques. We also considered their identity-building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lives of them started their lives as return migrant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Korean national policy and personal choices. They had different experiences depending on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 Also, as return migrants, they realized social adaptation through their own distinction, whether internal or external. In terms of identity, they tended to develop and change their lives with the nomadic identity of Nomad, who values the identity of “I” as “individual” rather than associating with the ethnic identity of Korean Chinese& Koryosaram. In the future, if you intend to use the returning Overseas Korean Youth as a bicultural messenger, a hybrid identity of Korean and foreigners, and a future global human resource in the overseas Korean youth policy,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urrent location and identity.

I.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