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0.24
52.14.0.24
close menu
KCI 등재
한복체험이 한복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nbok Experience on Consumer Recognition and Consumer Behavior towards Hanbok
고순화 ( Soon-hwa Ko ) , 황복희 ( Bok-hee Hwang ) , 이영선 ( Young-sun Rhee )
한국디자인포럼 67권 59-68(10pages)
UCI I410-ECN-0102-2021-600-000845843

연구배경 기성세대와 달리 젊은층은 SNS등 기존과 다른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복을 체험하고 접하고 즐기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복 체험이 한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한복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복체험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연구대상은 10~30대 남녀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454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복의 직접체험이 한복에 대한 인식 중실용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복에 대한 소비자 인식 중 심미성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복에 대한 소비자 인식 중 오락성은 추천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복의 구매활성화를 위해 한복의 색상, 디자인, 고상함 등 미적인 특성을 강조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통한복 제조업체의 활성화와 시장확대를 위해 소비자들이 문화콘텐츠로서 한복을 통해 즐거움과, 친근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행사나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Young people are experiencing, interacting with , and enjoying Hanbok through various other routes such as SNS. As a result, interest in Hanbok has been heightened by young generation. At this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oung people's experiences of Hanbok on the perception of Hanbok and their effects on the future consumer behavior.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nd subjects consisted of men and women in their 10s and 30s. Data from 454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SPSS 20.0. Result First, the direct experience of Hanbok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racticality among the perceptions of Hanbok. Second, the esthetics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consumer perceptions of Hanbok. Third,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 among the consumers' perception of Hanbok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bok should be emphasized to activate the purchase of Hanbok as a traditional cultural produ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rketer should develop the various cultural event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consumer to recognize the pleasure and familiarity through Hanbok as a cultural contents and in order to encourage traditional Hanbok makers and expand their marke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문제
4. 연구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