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07.90
18.117.107.90
close menu
KCI 등재
칠보 매체를 적용한 만다라 미술심리
Mandala art therapy approaching with enamel
장희은 ( Hee-eun Jang )
한국디자인포럼 67권 93-106(14pages)
UCI I410-ECN-0102-2021-600-000845878

연구배경 현대인들은 끊임없는 경쟁 속에서 수많은 스트레스와 불안에 노출되어 있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발전으로 사람이 직접 일하는 많은 직업들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사람들은 자신의 무가치함과 정체성에 대한 혼란으로 정서적인 고통이 크다. 이러한 현대인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고, 감정을 해소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칠보라는 매체를 활용하여 미술치료의 만다라를 표현함으로써 그 심리적 의미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칠보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파악하고 미술치료의 이론과 만다라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본다. 칠보매체를 만다라 작품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 탐색의 과정을 파악한다. 칠보만다라 작품을 미술치료적 관점으로 접근하며 심리적 특징과 상징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칠보를 적용하여 미술치료의 새로운 매체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미술치료의 만다라 문양을 칠보의 디자인으로 활용하여 칠보만다라 작품을 제작하였다. 칠보만다라 작품의 색상과 상징을 바탕으로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결론 칠보 매체를 새로운 영역의 매체로 적용함으로써 칠보의 활용도를 심리적 영역으로 저변을 넓히고자 했다. 디자인 측면에서 만다라 문양을 통해 칠보 디자인의 새로운 시도를 이루어내고 칠보의 색상과 만다라의 상징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칠보만다라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적 해소와 내면의 통합을 경험하는 치유의 심리적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Background Midst the constant competition, the modern person is exposed to considerable stress and anxiety.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Internet of Things (IoT), there are predictions that jobs that require people to work directly will disappear, and therefore people feel worthless and undergo a crisis of identity, experiencing great psychological suffering. For the modern person, a great need has arisen for self-reflection and ways in which to relieve negative emotions. In order to achieve these two thing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r the psychological impact of enamel, and seek out the different usages of the enamel mandala in the field of psychology. Methods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of enamel and the process of its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apprehe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namel.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ry of art therapy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dala. Result In this study, the use of enamel as a new medium in art therapy was investigated. An enamel mandala was produced using the art mandala pattern of art therapy as an enamel design. Based on the color and symbol of Enamel Mandala, we examin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By applying enamel as a medium for new areas, it was intended to broaden the use of enamel to psychological areas. In terms of design, a new attempt of enamel design was achieved through a mandala pattern, and the color of the enamel and the symbolism of the mandala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Enamel Mandala work, we explored the psychological potential of healing to experience emotional dissolution and inner integration.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칠보를 적용한 만다라의 제작
4.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