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3.255
18.191.13.255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의 계승일본어교육활동을 둘러싼 실태 -어머니들의 자조 모임에 관한 조사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of ‘heritage Japanese language’ educaion in Korea - from surveys about support groups by mothers -
오이카와히로에 ( Oikawa, Hiroe ) , 이와마아키코 ( Akiko, Iwama )
일어일문학연구 113권 189-215(27pages)
UCI I410-ECN-0102-2021-800-000843436

2000년 이후, 한일 국제결혼 커플이 증가함에 따라 한일 국제결혼으로 태어난 자녀의 계승일본어 교육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과거에는 계승일본어 교육이 주로 가정 내에서만 진행되었으나, 한국 사회의 변화에 따라 일본인 어머니들에 의한 자조 그룹이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고는 이러한 자조 그룹의 실태를 파악하고 자조 그룹 활동 형태의 전반적인 경향과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2016년과 2018년도에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의 여섯 가지 특징이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 인프라가 정비되어 있지 않다. 둘째, 활동 형태가 유동 적이다. 셋째, 교실 운영이 소규모로 이루어진다. 넷째, 계승일본어 교육의 대상자는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미취학 아동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활동내용은 글자의 인식, 읽기, 쓰기가 중심이다. 여섯째, 자조 그룹의 어머니들은 자신들이 속한 그룹에서만 활동하며, 한정된 SNS 범위 내에서 폐쇄적인 운영 및 활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이러한 자조 그룹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 동향은 크게 세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운영을 위해 한 사람이 그룹을 이끄는 리더 체계로부터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있다. 둘째, 활동 내용 및 활동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셋째, 자조 그룹에 소속된 인원들은 귀속 의식을 가진다. 후속연구로는 자조 그룹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자조 그룹의 활동이 보다 효과적이고 장기적, 안정적인 형태로 운영되려면, 어떠한 방향성을 취해야 하는지 더불어 모색하고자 한다.

Since the year 2000, with the increase of Korean-Japanese couples, the issue of ‘heritage Japanese language (JHL)’ education their children has been brought into focus. In the past,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at home, however due to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support groups are being formed by the Japanese mothers of thes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vestigate the real current situation of the support groups of JHL in Korea and to analyze the overall tre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ctivities. Through the surveys conducted in 2016 and 2018, the following six characteristics have stood out. First, there is not enough infrastructure. Second, the form of activity is flexible. Third, classroom activities are managed on a small-scale. Fourth, the target of heritag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ends to concentrate on preschool children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o have relatively more time. Fifth, activities focus on developing literacy. Sixth, mothers who belong to self-help groups are active only within the groups, and tend to have closed management communicate within (mobile-based) closed online communities. However, JHL support groups continue to show progress which can be summarized with the three main points. First, there is a tendency to break away from a ‘one leader system’ in which a person leads the group for stable and long-term operation. Second, the content and scope of activities are expanding. Third, members belonging to self-help groups have grown stronger bonds. Members of these groups have grown stronger bonds in running their organization. For future studies,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seek a concrete analysis on what direction needs to be taken for effective, stable, and long-term management of JHL support groups.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調査方法及び調査内容
4. 母親たちによる自助グループの実態-調査結果とその分析
5. 自助グループの特徴に関する考察
6. まとめと今後の課題
参考文献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