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01.197
13.59.201.197
close menu
KCI 등재
직무요구-자원모델을 적용한 코치 번아웃과 직무열의의 통합모형 검증
Verification of an Integrated Model of Coaches Burnout and Job Engagement Applying Job Demands-Resources Model
이근철 ( Keunchul Lee ) , 백승엽 ( Seung-yup Beak ) , 이강헌 ( Kanghun Lee )
UCI I410-ECN-0102-2021-600-000806717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들의 번아웃과 직무열의에 대한 통합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과학 연구분야에서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적용되어온 직무요구-자원모델(JD-R)을 운동선수 코치에게 적합하게 설정하고 관련 변인 간 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 1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치 번아웃, 직무열의, 직무자원, 직무요구, 이직의도, 직무만족도 등 6가지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최종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측정모형분석과 팬텀변수를 활용한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요구는 번아웃을 경유하여 직무만족도와 부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구는 번아웃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와 긍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원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번아웃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자원은 번아웃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와 부정적인 관계,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직무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직무열의는 각각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긍정 및 부정적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grated model for the burnout and job engagement of coaches who work in the sport field. Therefore, the job demands-resources(JD-R) model, which has been applied to various occupation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research, was made suitable for coaches and was analyzed between relevant variabl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5 coaches in South Korea through the survey. Measurement tools consisted of questionnaires on the coach’ burnout, job engagement, job demands, job resources,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that were designed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effect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Results: First, the job demands perceived by the coach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rough burnout, and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rough burnout. Second, mediating effect of burnout was found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satisfaction. Third, job resourc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rough burnout and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engagement. Conclusion: Burnout and job engagement perceived by coaches in the sport field were related to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respectively, which can predict negative and positive resul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부록 1> 상관관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