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3.187
3.135.183.187
close menu
KCI 등재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 on Rehabilitative Motivation and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차수민 ( Cha Su-min ) , 김형준 ( Kim Hyung-jun ) , 이지원 ( Lee Ji-won ) , 임나현 ( Lim Na-hyun ) , 조혜민 ( Cho Hye-min ) , 황혜영 ( Hwang Hye-young )
UCI I410-ECN-0102-2021-300-000798851

목적 : 본 연구를 통해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7월 29일 까지 부산, 울산시에 위치한 A, B, C, D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 15명에게는 일반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실험군 15명에게는 일반적 작업치료프로그램과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을 동시에 적용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주 5회, 4주간 총 20회 적용하였다.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el Inex: MBI)를 사용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였고, 재활동기척도를 사용해 재활동기를 평가하였다.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프로그램이 기능회복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sum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중재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기능회복(Z= -2.769, p<.05)과 재활동기(Z= -2.367, p<.05)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기능적 회복(Z= -2.527, p<.05)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재활동기(Z= -1.743, p=0.081)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시, 자가 체크 프로그램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재활동기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홈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일상생활활동 과제수행 자가 체크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for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rehabilitative motivation and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Methods : From July 1, 2019, to July 29, 2019, 30 stroke patients were treated at A, B, C and D hospitals located in Busan and Ulsan. A generaliz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15 control members, and a generaliz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nd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were applied to 15 subjects simultaneously.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five times a week and a total of 20 times in four weeks.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was assessed using Modified Bartel Index (MBI), and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 Scale.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 on functional recovery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 Wilcoxon Rank-sum testt were conducted. Results : As a result of the Wilcoxon Rank-sum 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effe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unctional recovery (Z = -2.769, p <.05)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Z = -2.367, p <.05)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recovery (Z = -2.527, p <.05), but not in the rehabilitative motivation(Z = -1.743, p = 0.081). Conclusion : The application of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in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togethe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erformance capabil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ve motivatio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using self-administered check programs could be checked as part of the home program.

Ⅰ. 서 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