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53.209
18.221.53.209
close menu
KCI 등재
학교혁신 영역별 변화에 대한 혁신학교 및 일반학교의 초·중·고등학교 교사와 관리자의 요구 분석: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Needs for Change Toward School Innovation: Focusing on the Cas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강지혜 ( Jihye Kang ) , 이지연 ( Ji-yeon Lee ) , 이은배 ( Eunbae Lee )
교육공학연구 36권 2호 327-352(26pages)
DOI 10.17232/KSET.36.2.327
UCI I410-ECN-0102-2021-000-00079060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부장, 관리자를 아우르는 학교 관계자가 학교혁신을 실천하기 위한 변화를 요구하는 영역을 학교 유형, 직급, 학교급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가을 인천시교육청 관내 일반학교 및 혁신학교 교사, 부장교사, 관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 중 주관식 문항에 응답한 429명의 의견(1,256개)을 연구자 3인이 4차례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9개 학교 혁신영역과 38개 세부항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학교혁신을 실천하기 위하여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영역은 학교운영, 학교문화, 교원전문성, 교육과정, 수업, 평가, 테크놀로지, 공간재설계, 정책의 9대 영역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장 변화가 필요한 혁신영역은 학교운영(24.28%), 교원전문성(17.28%), 공간재설계(16.40%), 학교문화(15.05%), 교육과정(9.55%), 정책(7.56%), 평가(4.54%), 수업(3.03%), 테크놀로지(2.31%)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사들이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한 학교 혁신영역의 세부항목은 학교유형별, 학교급, 직급별로 교육목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을 카이검정을 통해 밝혀냈다(p<.01, p<.001). 일반학교에서는 학교업무정상화, 혁신학교에서는 공간재설계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의 경우에는 교육청 또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있는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이나 입시제도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에 따라서는 교사, 부장, 관리자 직급별로 가장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영역이 모두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학교업무 정상화가, 부장은 노후 시설 개선 및 공간 확충이, 관리자는 평가패러다임에서 변화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유형, 학교급, 직급별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과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While South Korea strives toward school innovation in the past decad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collective voice on what areas of school require further change was rarely heard.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needs for change for school innovation. Research methods includ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mong three researchers on 1258 responses on open-ended questions in an online survey from 429 teachers and administrators. Responses were categorized into nine areas and 38 specific needs, including school governance (24.28%), professional development(17.28%), space reconfiguration(16.40%), school culture(15.05%), curriculum(9.55%), education policy(7.56%), assessment(4.54%), and instruction(3.03%), technology (2.31%). Further analysis included the chi square test to compare results among school types, school level, and personnel ranks. The highest demands were the focus on teaching and learning in traditional schools and space redesign in innovative schools. Middle school demanded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hereas high school requested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llege entrance systems. By ranks, teachers expressed the need for undivided focus on teaching, supervisors for improved facilities and space, and administrators for the change in the assessment paradigm. This study can help establish school innovation goals and distribute resources to make focused and immediate impact in the needful direction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