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07.149
18.223.107.149
close menu
KCI 등재
대학 조직역량의 문화역사적 활동체제 분석: A대학 행정조직 사례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System of the Organizati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A Case Study of A University’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나은창 ( Eunchang Na ) , 김회수 ( Hoisoo Kim )
교육공학연구 36권 2호 413-441(29pages)
DOI 10.17232/KSET.36.2.413
UCI I410-ECN-0102-2021-000-000790634

본 연구는 우수 수행자의 개인 특성과 직무를 분석하여 역량을 도출하는 개인 차원의 역량에서 벗어나 활동이론 관점에서 조직역량이 발휘되는 다양한 요소와 모순을 분석하여 수정 발전해 가는 체제 속에서 나타나는 조직역량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대학 B부서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A대학 B부서의 구성요소는 주체(행정직원), 객체(직무수행), 도구(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 정보전산시스템, 예산 및 재정), 분업(사무분장을 통한 실무, 실무간 협업), 공동체(B부서), 규칙(대학의 규정)으로 활동체제를 구성하고 있었다. 모순은 개인만을 변화시키려는 역량 인식, 교육만을 강조하는 역량강화정책, 시스템과 예산의 부족, 규정 내용과 직무수행 간의 불일치, 상의하달식의 의사소통, B부서와 학과 사이 갈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역량에 대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직역량은 ‘개인’만으로 발휘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들이 도구를 매개로 다양한 과업을 수행하고, 규칙, 분업, 공동체등과 연결되어 조직적 차원의 체제적 관점에서 역량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둘째, 조직역량은 조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인에게 지식을 주입하거나 교육을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변화를 지향하는 조직 체제와 이전의 체제 간의 격차를 줄여가는 과정을 통해 조직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활동이론 관점에서 조직역량은 조직의 학습과 역량에 새로운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현장에서 조직역량을 분석하는 이론적 틀로서 접근방법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actors and contradictions in which organizational competencies are exercis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ity theory. To this end, B departments of private A university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study, the components of the B department’s organization consisted of the subject(administrative staff), object(work performance), tools(education programs, computing systems, budget), rules(university regulations), division of labor(practical work and collaboration), communities(department B). Major Contradictions were the recognition of competency to change only individuals, the competence-building policy that emphasizes education, the lack of systems and budgets, the gap between the contents of regulations and job performance, the top-down communication, and the conflict between department B and other depart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organizational competence First, organizational competence is not only exercised by ‘individual’ but also by performing various tasks through the medium of tools and connected with rules, division of labor, community, etc. Second, organizational competence may be enhanc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system, in stead of injecting knowledge into or educating individuals to improve organizational problems. In this way, organizational competencies can give new implications to the learning and competency of an organiza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expand the approach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organizational competencies in the fiel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